오늘 韓'美(한미) 정상회담은 최근 양국간 갈등을 감안할 때 별다른 성과가 보이지 않는다. 특히 두 나라 정부의 시각과 해법이 판이하게 대비되는 대북한 문제에 있어 양 정상은 공동의 인식을 강조하고 있으나 原則(원칙)의 확인에 그쳐 진전이 없다는 말과 다르지 않다. 그러나 정상회담을 전후해 노무현 대통령이 한'미 同盟(동맹)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두 나라 사이의 갈등을 줄이려고 노력한 흔적은 평가할 만하다.
북핵 문제를 6자회담을 통한 평화적이고 외교적인 방식으로 해결한다는 원칙에 양국은 異見(이견)을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회담 후 기자들의 질문에 대한 대답은 북한을 어떻게 보느냐는 시각에서 이견이 여전했다. 북한을 협상 가능한 파트너로 여기느냐, 아니냐의 시각 차이는 당연히 대응 방식의 차이를 낳는다. 양국 정상이 속내를 내놓고 상대를 설득하고 이해를 구하려는 노력을 포기한 채 추상적인 修辭(수사)로 갈등과 이견을 縫合(봉합)했다면 두 나라의 미래를 어둡게 한다.
국내를 찬반 양론으로 들끓게 하고 있는 전시 작통권 환수 문제도 그렇다. 양국 정상은 한'미 동맹의 성숙함'공고함을 보여 주는 것이라고 평가하며 원칙에 공감하고 있다. 그러나 부시 대통령의 '전작권이 政治的(정치적) 문제가 돼서는 안 된다'는 발언은 이와관련 두 정부의 이견이 적지 않음을 말한다.
그러나 동맹의 중요성을 강조한 노 대통령의 잇단 발언은 최근 우려할 수준에 이른 두 나라의 갈등을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 다행스럽다. 외교는 우리에게 무엇보다 소중하다. 그런 점에서 이번 미국행에서 나온 대통령의 발언은 결코 一回用(일회용)이거나 과시용으로 끝나선 안 된다. 나라밖에서와 다른 국내 발언으로 또 다시 동맹을 흔들지 않아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