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임 헌재소장직은 19일까지 공석될듯
윤영철 헌법재판소 소장과 김효종·김경일·송인준 재판관이 6년의 임기를 마치고 14일 퇴임했다.
윤 헌재소장은 이날 오전 서울 종로구 재동 헌재 청사 대강당에서 열린 퇴임식에서 "지난 6년 간 이념과 이해의 갈등이 소용돌이치는 거친 바다를 항해해 왔다"며"정치적·이념적으로 중립적 자세를 견지하며 정치적 고려를 배제한 채 무엇이 헌법정신에 부합하는 규준(規準)인지를 찾는 데 노력해 왔다"고 소회를 밝혔다.
윤 소장은 2000년 미국 대통령 선거 과정에서 불거진 개표 절차의 위법 문제와 2005년 독일 총리가 취한 의회해산 조치의 헌법 적합성 논란이 헌법재판 결정을 거쳐 극복된 점을 거론하며 "정치 과정에서 사법판단이 존중되고 이 판단을 통해 분열됐던 사회상이 안정을 되찾아가는 모습에서 우리가 추구하는 법치주의의 이상적 형태를 발견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근대화와 민주화의 과정을 거치며 얻은 성과를 사회의 새로운 규범으로 안착시켜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며 새로 출범할 4기 재판부에 대해 갈등을 조정할 수 있는 '사회적 통합'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 줄 것을 당부했다.
한편 대통령과 대법원장이 추천한 김희옥·김종대·민영기 재판관 후보자와 국회 본회의 표결절차가 남아있는 목영준·이동흡 후보자는 임명 절차가 끝나는 대로 헌재 재판관에 취임해 이르면 15일부터 집무를 시작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전효숙 헌재소장 후보자의 경우 여야 입장차이로 임명동의안 처리가 지연되고 있어 헌재소장 자리는 국회 본회의가 열리는 19일까지 당분간 공석이 될 것으로 보인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