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육상선수권대회 대구 유치, 어떻게 돼가나?

입력 2006-09-13 09:49:55

"대구가 세계육상선수권대회를 유치, 국제도시로 도약할 수 있을까?"

월드컵, 올림픽과 함께 세계 3대 스포츠 이벤트의 하나인 세계육상선수권대회(2011년) 개최지 결정(2007년 3월)이 6개월 앞으로 다가옴에 따라 대구가 대회를 유치할 수 있을 지에 촉각이 쏠리고 있다. 특히 김범일 대구시장이 최근 청와대를 방문하는 등 대구시가 대회 유치에 모든 행정력을 집중하는 가운데 대기업의 후원사참여 및 범국가적 지원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경제적 파급효과 3천여억 원."

2011년 세계육상선수권대회는 8~9월에 약 9일동안 열릴 예정이며 총 211개국 6천200명(선수 1천800명, 임원 900명, 기자단 2천500명)이 참여할 것으로 전망되는 대형 국제 스포츠 이벤트.

대구시는 대구에서 이번 대회가 열릴 경우 국제도시로서의 브랜드 가치제고 및 지역발전 역량결집 등 그 효과가 클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대구경북연구원이 분석한 결과 대회의 경제적 파급효과가 3천여억 원에 이르며, 고용창출 효과도 3천여 명으로 예상된다는 것. 여기에다 세계 3대 대회를 개최한 도시로서의 위상제고 및 시민 자긍심 고취, 기초 체육종목의 육성을 통해 지역 및 국가 체육발전에 기여하는 등 유·무형적 효과도 적지 않을 것으로 대구시는 기대하고 있다.

◆대구의 대회 유치여건은?

우선 강점으로는 2003년 하계 유니버시아드대회의 성공적 개최로 세계 육상선수권대회를 개최할 능력이 충분함을 입증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대구시 한 관계자는 "U 대회 당시 쟈크 로게 IOC위원장과 국제육상경기연맹(IAAF) 집행이사들이 대구시의 경기 진행수준 등을 높이 평가하면서 세계 육상선수권대회 개최를 강력하게 권유한 바 있다."고 전했다.

또한 세계 최고 수준의 경기장을 보유한 것을 비롯해 대구와 주변의 풍부한 관광자원, 사통팔달의 교통여건, 쾌적한 도시환경도 강점으로 꼽히고 있다. 대구시민 90% 이상이 대회유치를 희망하는 등 참여 열기가 높다는 점도 강점 가운데 하나로 꼽힌다.

반면 대구가 지닌 약점도 없지 않다는 분석. 우리나라가 우수한 육상선수와 육상 전문가(심판, 운영요원 등) 부족 등으로 국제적으로'육상 약체국가'로 인식되는데다 국민들의 육상에 대한 낮은 관심도도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또 대구가 국제도시로서의 인지도가 낮고 육상에 대한 관심도가 높은 유럽지역과의 시차 문제로 IAAF의 TV방영권 수입감소가 예상된다는 점도 불리한 요인. 아울러 강원 평창 동계 올림픽 유치활동에 비해 중앙정부의 지원이 미흡한 것도 약점으로 거론되고 있다.

대구가 가진 약점들도 있지만 IAAF 등 국제기류에서 유리한 측면도 있다. IAAF는 2005년 제10회 헬싱키 세계육상선수권대회 이후 점차 아시아 등 기타 지역으로의 육상 저변 확대방안을 찾고 있다는 것. 2009년 베를린 세계육상선수권대회, 2012년 런던 올림픽 등으로 2011년 대회는 비 유럽지역 개최에 호의적인 분위기가 조성되는 점도 고무적인 현상으로 받아 들여지고 있다.

◆"대구유치 가능성 높다."

현재 유치 의향서를 제출한 국가는 9개국. 한국의 대구를 비롯해 아랍에미리트연합(UAE·도시 미정), 러시아(모스크바), 크로아티아(스플리트), 스페인(발렌시아/마드리드), 스웨덴(도시 미정), 모로코(카사블랑카), 호주(브리즈번), 미국(도시 미정) 등이다.

대구시는 국가 차원의 유치의지와 경기장, 대회운영 능력 등을 종합해 볼 때 호주, 러시아, 미국, 스페인, 모로코 등과의 유치경합을 예상하면서 현재 대구가 유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특히 대구 경우 외부지원 여건이 충분치 않음에도 불구하고 IAAF 집행이사 방문 및 방한 초청 등 유치활동을 적극 전개한 결과 다수의 집행이사로부터 긍정적이고 호의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는 것.

대구의 우수한 경기장 시설과 '아시아 육상발전을 통한 세계 육상의 균형발전'이란 유치 명분에 크게 공감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대구시는 12월 초 유치 신청서를 IAAF에 제출할 예정이며 IAAF는 12월부터 내년 1월에 유치신청 도시들에 대한 현지 실사를 거쳐 내년 3월 IAAF 집행이사회에서 개최지를 결정하게 된다.

◆중앙정부·국회 등 범국가적 지원, '절실'.

김범일 대구시장은 "정부, 경제계 등 범 국가적 지원체계를 구축해 유치활동을 활발히 전개해나갈 경우 대회유치 가능성이 높다."고 강조하고 있다. 때문에 김 시장은 이달 들어 청와대와 국회를 잇따라 방문, 세계육상선수권대회 대구 유치의 당위성을 설명하고 지원을 요청하는 등 대회 유치에 공을 들이고 있다.

대회개최지 결정에 있어 체육 인프라와 함께 정부의 지원의지, 시민들의 육상에 대한 열기, 경제계 지원 등이 중요한 변수지만 정부 지원은 거의 없는 실정. 대구시는 국무총리를 위원장으로, 관계부처 장관 등을 위원으로 하는 정부지원위원회 구성을 강하게 요청하고 있으나 아직 실현되지 않고 있다는 것. 또 국회 내 '2011년 대구세계육상선수권대회 유치특별위원회'구성 결의안도 아직껏 운영위원회에서 계류 중인 상태다.

삼성그룹이 지난 10여 년간 대한육상경기연맹을 맡고 있는 만큼 IAAF 후원사로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정책적인 지원을 요망한 것도 아직 진척을 못보고 있는 실정.

대구시 한 관계자는 "시는 물론 중앙정부와 국회, 시민 등 추진 주체별 역할 분담으로 입체적, 효율적 유치활동을 전개해야 한다."며 "대회를 꼭 유치해 대구가 국제도시로 비약할 수 있는 좋은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대현기자 sky@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