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형 펀드에 가입한 초보 투자자들은 주식이 오르 내릴 때마다 가슴이 조마조마하다. 주가 하락으로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하면, "괜히 가입했다." 또는 "수익률이 좋은 다른 펀드로 갈아탈까?"하는 생각이 들다가, 주가가 오르면 "이제는 환매할 때가 된 것이 아닌가"하며 갈등한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시황에 따라 펀드를 교체하는 것보다 장기적으로 시장에 머무는 형태가 주식형 펀드 투자 성공 요령이라고 조언한다.
적립식 투자의 장점은 주가가 내리면 같은 금액으로 많은 주식을 살 수 있고, 주가가 오르면 싸게 사 둔 주식의 가격이 올라 수익률이 향상된다는 것. 주식시장은 영원이 하락하지도 영원히 오르지도 않는다. 장기적 관점에서 볼 때 1~2년 주가 하락은 오히려 주식을 싸게 살 수 있는 기회가 되는 셈이다. '거치식 투자'도 마찬가지. '계속 투자'는 투자 위험을 낮출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실제로 1980~1990년까지 미국 S&P 500지수(대표 우량주 500개로 구성)의 연평균 수익률은 17.6%이었는데, 이 기간 중 수익률이 가장 높았던 10일간 투자를 하지 않았다면 수익률은 12.65%로 낮아지고, 만일 수익률이 가장 높았던 30일간 투자를 하지 않았다면 수익률은 6.5%로 뚝 떨어진다. 11년간 수익률이 가장 높은 30일을 예측한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따라서 이 기간 동안 꾸준히 투자를 계속한 투자자가 '짭짤한 실익'을 챙겼다.
증권 전문가들은 "적립식 펀드의 경우 최소한 3년 이상 장기투자를 한다는 관점에서 시작하는 것이 안정적인 수익을 올리는 확실한 방법"이라고 말했다.
석민기자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