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미 있는 무대 밖 무대 이야기/탁현민 지음/나무와 숲 펴냄
외국 뮤지션들은 새 앨범을 내면 투어 공연을 하지만 한국 가수들은 쇼 프로그램에 출연, 뿅망치를 두드려 맞는다. 왜 한국 가수들은 새 앨범에 실린 노래를 부르지도 못하는 쇼 프로그램에 앞다퉈 얼굴을 비추는 것일까. 그것은 대중음악이 방송에 종속되어 있기 때문. 방송이 갖는 엄청난 파워로 인해 기획사들은 뮤지션을 발굴하기 보다 방송의 생리와 시스템에 맞는 연예인 만들기에 노력해 왔다. 그 결과 대중음악 저변이 취약해지는 부작용을 낳고 있다.
한국 대중음악계 현주소를 한 눈에 파악 할 수 있는 책이 나왔다. 저자가 지난 2004년 록밴드 YB의 180일 전국 투어 콘서트를 기획, 연출하며 쓴 '뚜껑 열리는 라이브콘서트 만들기'의 속편격. 공연 기획, 연출, 마케팅, 음반기획 등 대중음악 관련 일을 해 온 저자는 이 책을 통해 대중음악계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일반인들은 잘 모르는 가요계 속사정, 무대 뒤 이야기 등을 덤으로 들려준다. 책에는 저자가 지난해 말부터 최근까지 시사주간지 '뉴스메이커'에 연재했던 글 등이 실려 있다.
저자에 따르면 리허설은 음향, 조명, 무대 등 공연 구성 부분들을 점검하는 시간으로 원칙대로 하면 최소 공연 하루전 진행되어야 하지만 열악한 제작 여건상 제대로 이루어지는 공연은 많지 않은게 현실이다. 그래서 라이브 콘서트 리허설은 최종 점검 후 수정, 보완하는 과정이라기 보다 계획된 것 중 문제가 있는 것을 확인해 포기하는 단계를 의미하기도 한다는 것.
리허설에서 문제가 발생했더라도 본 공연에서 잘 될 것이라는 생각으로 시도했다 실패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몇해 전 윤도현 밴드 공연 때 7미터 높이까지 올라갔던 무대가 장치 고장으로 다시 내려오지 않아 무대 위에서 연주하던 밴드들이 공연 도중 기어 내려오는 해프닝이 벌어졌다. 두번의 리허설 중 한번 문제가 생겼는데 이를 안일하게 생각한 결과였다.
저자는 수 없이 많은 공연 가운데 좋은 공연 고르는 정보도 제공한다. 저자는 익히 알고 있고 좋아 하는 가수가 나온다는 것이 좋은 공연을 고르는 잣대가 될 수 없으므로 공연 주체를 먼저 확인할 것을 권한다. 공연을 취소하거나 문제를 일으켰던 기획사 공연은 피하는 것이 좋으며 가수 소속사가 직접 주최, 주관하는 경우 어떤 문제가 생겼을 때 가수 이미지 때문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밖에 없으므로 괜찮은 공연이라고 조언한다.
이와 함께 좌석을 선택할 때 무대 가까이 있는 R석이라도 좌·우 스피커 앞 블록은 무대가 반 밖에 보이지 않을 뿐 아니라 엄청난 고출력 사운드로 곤혹을 치를 수 있기 때문에 좋은 자리가 아니며 경사가 없는 좌석일 경우 R석과 뒷자리 다음 등급의 좌석은 별 차이가 없다고 말한다. 196쪽, 9천800 원.
이경달기자 sarang@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경선 일정 완주한 이철우 경북도지사, '국가 지도자급' 존재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