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건설노조 강경투쟁 선언…앞으로 일주일이 '고비'

입력 2006-09-07 10:33:21

포항지역건설노조는 8일 오전 9시 형산강 둔치에서 노조원 800여명이 참가한 가운데 집회를 열고 강경투쟁을 결의했다.

노조는 '더 이상 찬반투표는 거론하지 않는다'고 공개 선언하고 포스코와 포스코건설, 사용자 측의 자세 전환 촉구집회 및 노조원 출근저지 등 투쟁수위를 높여 나가기로 했다.

이에 따라 포항지역건설노조 파업 문제는 노사간 대립은 물론 복귀를 바라는 노조원들이 증가하고 있어 노노간에도 갈등이 클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파업 문제는 향후 일주일이 고비가 될 전망이다. 포항지역건설노조 투쟁본부(집행부)는 6일 동료노조원인 고 하중근 씨의 장례가 끝난 후 민노총 포항시협의회에서 오후 6시부터 7일 새벽 2시까지 확대간부 연속회의를 열어 파업을 5~7일 더 지속키로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회의에 참석한 한 노조 간부는 "온건파와 강경파가 대립속에 격론을 벌였다."면서 "5~7일 후에도 타결되지 않는다면 그때가서 투쟁방법을 논의키로 했다."고 전했다.

현재 노조집행부 중 온건파는 "두 달 넘게 지속된 파업으로 노조원들이 극심한 생활고를 겪고 있는 만큼 지난달 노사간에 잠정타결 된 합의안을 찬반투표에 부치자"고 주장하고 있고 강경파는 "지금 찬반투표를 실시해 가결 뒤 현장으로 복귀하면 명분도 실리도 얻는 것이 없다."며 맞서고 있다.

강강파는 파업 철회 조건으로 ▷구속자 석방 ▷포스코 손배소 철회 ▷포스코 출입자 규제 완화를 내걸고 있으며, 특히 현장 근로자 채용시 노조원 우선 채용을 고수하고 있다.

노조는 이에 앞서 지난 5일 교섭단장(신임 단장 권혁정)을 교체하고, 사용자측에 8일 상견례를 요청했으나 사용자측인 포항전문건설협의회는 '잠정 합의안 찬반 투표 회부'를 전제 조건으로 내걸어 무산됐다.

한편 지난 4일부터 시작된 포스코 현장으로의 출근 노조원이 점차 늘어 나는 추세다. 포스코와 포스코건설, 포항전문건설협의회는 "7일에는 파업 이후 가장 많은 411명의 노조원이 현장으로 나왔다."고 밝혔다. 비노조원까지 합하면 출근자는 1천 643명으로 집계됐다. 파 전 포스코 파이넥스 설비 현장 등 포항제철소내 34개 각 공사장에는 하루 평균 3천500여명 정도가 일했었다.

포항·최윤채 기자 cychoi@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