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비리 의혹' 문화부 공무원 6~7명 계좌추적

입력 2006-09-07 09:20:39

사행성 게임 비리 의혹을 수사 중인 서울중앙지검 특별수사팀은 경품용 상품권 정책 실무를 맡아 출국금지 조치가 내려진 문화관광부 직원들의 비리 연루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한 본격적인 계좌추적에 들어갔다. 검찰은 게임업체 등이 금품로비를 했다면 관련 업무에 대한 권한을 가진 문화부공무원들이 표적이 됐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상품권 도입과 고시 개정에 관여했던 직원 6∼7명의 출국을 금지한 데 이어 부정한 돈이 오갔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본인과 주변 인물들의 금융계좌를 추적하고 있다.

검찰은 또 상품권 발행업체인 안다미로 대표 김용환씨가 2002년 경품용 상품권 도입 당시 문화부 담당 국장이었던 유진룡 전 차관과 다른 공무원 등에게 1억원을 건넸다는 첩보를 내사했던 경찰청 특수수사과의 수사 자료도 최근 넘겨받아 재조사에 들어갔다. 경찰은 관련 로비설을 조사했으나 김씨가 친척 명의로 된 계좌를 2000년께 폐쇄하면서 30여억원을 1억원짜리 CD(양도성 예금증서) 30장으로 현금화해 사실상 추적이 어렵다고 판단해 '증거불충분' 등을 이유로 내사를 중단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유 전 차관이 문화상품권과 도서상품권을 게임장 경품용 상품권으로 허용한 문화부의 '경품취급기준고시'가 나온 2002년 2월 당시 이 정책을 추진한 문화산업국장을 맡은 점 등을 감안해 조만간 소환조사할 계획이다.

검찰 관계자는 6일 "유 전 차관에게 돈이 실제 전달됐는지 조사해봐야겠지만 아직까지 드러난 것은 없다. 유 전 차관은 현재로서는 상품권 관련 제도 도입 등과 관련해 반드시 조사가 필요한 참고인이다.본인이 수사에 협조하겠다고 밝힌 만큼 가급적 빨리 조사할 방침이다"고 말했다.

검찰은 또 이날 전국 700여개 스크린 경마 게임장 업주들의 모임인 한국컴퓨터게임산업협회(한컴산) 김민석 회장과 안다미로 김용환 대표 등이 참여하고 있는 한국어뮤즈먼트산업협회(KAIA)와 김재홍·박형준 의원의 미국 라스베이거스 게임쇼 출장 경비를 댄 한국전자게임사업자협의회(한게협), 이들 단체 회장인 정영수씨 및 곽형식씨의 자택을 각각 압수수색했다.

한게협 회장인 곽씨는 경품용 상품권 발행업체인 싸이렉스 지분 5%를 갖고 있는것으로 알려졌으며 KAIA 회장인 정씨는 경품용 상품권 발행업체 지정 권한을 갖고 있는 게임산업개발원 원장 출신이다. 검찰 관계자는 "이들 이익단체와 대표가 문화부나 영상물등급위원회(영등위) 관계자 등을 상대로 조직적으로 로비를 벌였다는 정황이 포착돼 압수수색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검찰은 사행성 게임기 개발업체 2곳과 상품권 발행 지정 과정에서 탈락한 업체 2곳 등도 압수수색함으로써 사행성 비리 의혹과 관련해 지금까지 압수수색된 곳은 모두 100곳이 넘는 것으로 집계됐다. 검찰은 상품권·게임기 관련 업체·협회·개인 등에 대한 압수수색과 기초조사가 어느 정도 마무리됨에 따라 금품로비 의혹을 받고 있는 브로커와 업체 관계자, 문화부 직원 등을 이르면 7일부터 무더기로 소환 조사할 계획이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