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의회 인사권 독립?…5급 정책위원 공채

입력 2006-08-22 11:41:31

경북도의회가 인사권 독립과 의회 전문화에 나선다. 김응규 경북도의회 운영위원장은 22일 오전 기자간담회를 갖고 "새로 생긴 5급 정책전문위원에 일반직이 아닌, 별정 또는 계약직을 공개 채용하겠다."며 "이는 경북도로부터의 인사권 독립 첫 실험대이자 지난 7월 8대 도의회 출범 이후 도의회가 약속한 의회 전문화의 첫 작품"이라고 밝혔다.

5급 정책전문위원의 경우 정부가 지난 6월 지자체 행정기구와 정원기준 등에 관한 규정을 일부 개정, 7월부터 광역의회 등이 정책전문위원을 채용토록 하면서 신설된 자리. 이에 따라 경북도의회의 경우 5급 정책전문위원 5자리가 신설됐고, 도의회는 28일 열리는 임시회에서 경북도의 공무원 정원 기준 관련 개정 조례안이 상정되면 심의 후 5급 정책전문위원을 뽑을 예정이다.

경북도의회에는 8급 이상 공무원 58명 중 53명이 일반직이며, 외부 전문가 영입이 가능한 별정·계약직은 5명이 고작이다. 일반직의 경우 경북도지사가 인사권을 행사해오고 있다.

김 위원장은 "그 동안 인사 요인이 발생할 때마다 도의회가 제 목소리를 내지 못했고, 일반직 인사 위주의 집행부 방침대로 끌려온 게 사실"이라며 "하지만 이번만은 의회에서 일할 사람은 의회가 뽑을 계획이다. 이는 55명의 도의원 모두 같은 생각"이라고 했다.

김 위원장은 "28일 임시회 전에 경북도에 도의회의 의사를 충분히 전달할 것이며, 도가 임시회에서 도의회 의견을 반영한 조례안을 내놓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도의회는 5급 정책전문위원을 운영위원회에 배속시켜 7개 상임위의 정책 개발을 보좌하는 안과 상임위별로 정책전문위원을 배치하는 안 중 하나를 택할 방침이다.

한편 도의회 사무처 관계자는 "별정직의 경우 신분은 보장되지만 채용 후 '함량 미달'일 경우 내보낼 방법이 없고, 계약직도 전문성은 확보되지만 신분이 보장되지 않아 역시 열심히 일을 하지 않을 가능성도 없잖다."며 "이를 충분히 감안한 공개 채용이 이뤄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종규기자 jongku@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