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시내버스 운영 체제가 準公營制(준공영제)로 바뀐 지 만 6개월 됐다. 적어도 시행 초기 드러났던 문제점들은 극복돼 있어야 할 시점이다.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지난 5월쯤 가능해지리라 했던 인접 중소도시 버스들과의 換乘(환승)은 지금껏 불통이다. 배차 간격이 여전히 들쭉날쭉한 것은 더 심각한 문제이다. 버스를 타러 갔다가 땡볕에서 30분씩이나 기다려야 할 때까지 있었다. 그런데도 운전기사는 배차 간격에 대해 아는 바 없다고 했다. 타코미터기도 작동되지 않는다고 했다.
엄청난 公共(공공) 부담을 바탕으로 새 제도를 도입하고도 상황이 이렇다면, 그것은 進步(진보)는커녕 踏步(답보)라 보기도 힘들어 차라리 退步(퇴보)라 하는 게 더 타당할 것이다. 게다가 지금쯤은 초기 문제점 극복을 넘어 보다 근본적인 목표를 향해 다음 단계 업그레이드 조치까지 구사돼야 더 제격인 시점일 수도 있다. 승객을 획기적으로 늘릴 추가적인 장치의 도입을 통해 시내버스 운영 收支(수지)를 개선하고, 개인용 승용차 수요의 低減(저감)을 통해 시가지 混雜度(혼잡도)와 大氣質(대기질)을 개선하며, 나아가 에너지도 절약하게 하는 효과를 노리는 게 그것이다. 그러나 두 달 전의 한 조사에서는 출근 시간대 대구시내 승용차 중 86%가 나홀로 차량으로 드러났다. 나아지기는커녕 2년 전보다 4%포인트, 한 달 사이에만도 1%포인트나 악화된 수치라고 했다. 그러다 보니, 대구의 승용차 수송 분담률(36.7%)은 여전히 서울'광주보다 10%포인트 이상, 부산보다는 8%포인트 이상 높다고 한다.
대구시는 준공영제 도입의 근본적 목적 의식을 다시 한 번 추슬러야 한다. 새 제도 도입 그 자체가 목적일 수는 없다. 시내 교통체제를 버스'지하철 중심으로 바꿔내는 게 종국적인 지향점이 돼야 한다. 그러려면 당장 配車(배차) 간격부터 약속대로 이행시켜 신뢰를 확립해야 한다. 그리고 이용자가 적은 노선들을 끊임없이 재조정함으로써 노선 효율과 시민 편의 및 운행 수지를 함께 개선해야 한다. 요금을 올려 운행 적자에 대처하겠다는 물러서기식 자세로는 준공영제의 본래 목적을 결코 달성할 수 없다. 승객 늘리기가 유일한 목표이고 수단이라는 결연한 의지만이 문제 해결의 열쇠일 것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