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자치단체들 '인구늘리기' 묘안 백출

입력 2006-08-18 11:01:37

청정 이미지 활용 귀농 유치' 역점

이농현상에다 분포도가 높은 고령자의 사망 등 자연감소로 인구가 급감하면서 기초자치단체장들이 시·군세 유지를 위해 출향인사를 동원하거나 전입 다수확 공무원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 자녀양육비 지원 등 갖가지 아이디어를 동원하고 있다.

이같은 고육지책을 써보지만 인구가 늘어나지 않자 자치단체들은 난감해하는 표정이다.

영양군은 7월 말 현재 주민등록 인구수가 1만 9천758명으로 지난해말 2만82명보다 324명(1.6%) 감소, 인구조사가 처음 실시된 이래 최소라고 17일 밝혔다. 인구 2만명선이 무너진 것으로 섬인 울릉군(9천201명)을 제외하고는 전국 기초단체 중에서 가장 적은 인구. 이는 지방자치법상 읍(邑)의 설치기준(2만명 이상)에도 못미치는 것이다. 영양군의 인구는 1925년 4만 6천778명, 1973년 7만 791명, 1980년 5만 2천903명, 1990년 3만 1천171명, 2000년 2만 2천894명 등이다.

영양군 권영기 담당은 "기업체가 들어오지 않아 일자리가 없고, 군민의 26%가량이 65세 이상 노인이기 때문에 인구감소는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며 "기업체를 유치하는 등 먹고살 것을 만들지 않고서는 대책이 없다."고 허탈해 했다. 2005년부터 육아양육비 지원조례를 전국 최초로 제정, 시행하고 공무원 1인 1세대 전입시키기 운동과 전입자에 대한 각종 인센티브를 제공했지만 별 효과를 얻지 못한 때문이다.

여기에다 군은 근본적인 인구증가책 마련을 위해 2005년에 '비전 영양 2020'계획을 수립했다. 이는 청정영양의 이미지를 최대한 활용, 청소년을 위한 농촌체험관광사업과 도시의 중산층을 대상으로 한 웰니스 인구의 유입, 귀농인구 유치 등에 역점을 두겠다는 것.

7월 말 현재 2만 8천985명으로 지난해에 비해 521명이 줄어든 청송군도 100억 원의 기금을 조성해 인재육성장학회를 설립하는 등 인구늘리기에 안간힘을 쏟고 있다. 우선 포항제철과 자매결연을 추진하고 현동면 일대에 전원주택지를 조성, 싼값에 외지인들에게 제공하고 출향인들을 대상으로 '고향에서 노후를 보내기 운동'을 전개키로 했다. 아울러 출산 장려정책과 함께 공무원 1인 1세대 전입시키기 운동, 귀농자 유치운동 등도 펼치고 있다.

군위군은 인구를 늘리기위해 출산장려금을 지급하는 고육책을 쓰고 있지만 성과가 없자 허탈한 표정만 짓고 있고 의성군도 마찬가지로 출산장려책에 의존하고 있지만 매년 수 천 명씩 줄어드는 현실에는 묘책이 없다는 반응이다.

영덕군은 최근 인구 늘리기를 위해 향우회 공략에 나서기로 했다. 군은 서울·대구 등 전국의 출향인들 가운데 정년퇴직을 앞두고 있거나 귀향을 원하고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영덕 거주하기 운동'을 적극 펼치기로 했다.

현재 각 향우회별 회원은 서울 3천여 명, 대구·부산 각각 2천여 명. 이 가운데 대도시의 기업체나 관공서 등에 재직하며 정년을 앞두고 있는 1천700여 명을 대상으로 퇴직후 고향으로 돌아와 정주할 수 있도록 설명회를 열 계획이다.

이를 위해 이달중 서울향우회 방문을 시작으로 영덕군정 홍보와 함께 귀향시 유휴농경지와 빈집 제공 등 전원생활에 필요한 다양한 혜택을 부여하는 설명회를 열어 자율적인 전입을 적극 유도할 계획이다.

김화식 주민협력 담당은 "퇴직을 앞둔 출향인들은 고향에서 마지막을 보내고 싶어하는 '수구초심'의 심리가 높다."면서 "실제로 읍·면사무소를 통해 월 20여건의 귀향 문의 전화가 오고 있어 나이 든 출향인들을 잘 설득하면 농어촌 인구늘리기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영덕·이상원기자 seagull@msnet.co.kr 군위의성·이희대기자 hdlee@msnet.co.kr 청송·김경돈기자 kdon@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