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들어 지난 달까지 실질실효환율이 10년만에 최저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 경쟁력 약화에 대한 우려와 함께 환율이 조만간 제자리 찾기에 나설 것이라는 전망도 제기되고 있다.
15일 은행권에 따르면 JP모건 체이스 은행의 원·달러 실질실효환율(Real Broad Effective Exchange Rate) 지수는 올들어 지난달까지 월평균 111.5를 기록했다.
기준연도인 2000년에 비해 원화 가치가 11.5% 절상됐다는 것을 뜻한다. 같은 기간끼리 비교했을 때 지난 96년 1~7월 114.5를 기록한 이후 10년만에 최고 수준이다.
실질실효환율 지수는 2001년 이후 2004년 11월까지 100 아래 수준에서 움직였으나 2004년 12월 이후 100을 넘었고 올 2월에는 110선으로 올라섰다. 실질실효환율은 우리나라와 미국의 물가 수준까지 감안해 원화의 실질적인 구매력을 측정하는 지표로 활용된다.
올들어 7월까지 원·달러 명목 환율이 평균 961.30원을 기록하며 지난 96년 1~7월 평균치 788.80원과 172.50원의 차이를 보이고 있으나 물가 변동이 감안된 환율 수준은 비슷하다는 의미다.
특히 일본과 대만 통화의 달러화에 대한 실질실효환율은 지난달 75와 89 수준을 기록하고 있어 우리나라 기업들의 수출 경쟁력이 상대적으로 약화될 가능성이 우려되고 있다.
이와 함께 원·달러 환율이 오름세를 보이며 조만간 균형 수준을 찾을 것이라는 전망도 제기되고 있다.
최근 실질실효환율이 외환위기의 단초를 제공할 정도로 원화 고평가 현상이 심했던 지난 96년 수준과 유사하기 때문이다. JP모건 임지원 박사는 "지난 96년의 환율이 1인당 국민소득 1만 달러 돌파를 위해 의도적으로 고평가됐다는 점은 학계나 시장 모두 인정하고 있다."며 "최근 실질실효환율이 96년 수준에 도달해 있어 앞으로 위안화 절상 등 달러약세 요인이 발생하더라도 원화 강세는 제한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한편 지난 5월 중순 927.90원까지 떨어진 이후 두달 이상 940~960원 사이의 박스권에서 등락하던 환율은 지난 14일 965.80원으로 상승하며 지난 4월 3일 970.30원 이후 넉달여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