늘어나는 '자살 행진' 대책 서둘러야

입력 2006-08-09 11:31:12

전국적으로 하루 평균 38명씩 스스로 목숨을 끊으며, 노인과 여성의 자살률이 가파르게 늘어난다는 통계가 우리를 우울하게 만든다. 경찰청이 국회 보건복지위 안명옥 의원에게 제출한 '2001~2005년 자살 현황'은 '자살 공화국'이라는 불명예 딱지를 뗄 날이 갈수록 멀어지는 현실을 보여준다.

2001년 1만 2천227명에서 2002년 1만 3천55명, 2003년 1만 3천5명, 2004년 1만 3천293명, 2005년 1만 4천11명 등으로 매년 자살자 수가 늘어나고 있다. 지난해 경북은 822명(하루 평균 2.3명), 대구는 658명(〃1.8명)으로, 전국 광역 시'도 가운데 경북은 다섯 번째, 대구는 아홉 번째다.

보건복지부의 '자살 예방 대책 5개년 계획'이 2004년 9월 말부터 시행되고 있지만 2005년에는 오히려 전년보다 큰 폭으로 증가했다. 복지부 계획이 겉돌고 있다는 지적을 받을 만하다.

60세 이상 노인 자살이 전체의 28.6%를 차지, 자살 최다 연령층이 된 것은 고령화 사회의 그늘을 말해 준다. 5년 전보다 전체 자살자 수가 14.1% 늘어난 데 비해 지난해 노인 자살은 무려 102%나 급증했다. 가난'고독'질병, 無爲感(무위감) 등이 '黃昏(황혼) 자살'로 내몰고 있는 것이다.

여성 자살률 급증도 간과할 문제가 아니다. 지난 해 남성 자살자는 전년 비 226명 늘어났으나 여성은 492명으로 최근 급증세를 보이고 있다. 또한 통계청의 '2006년 청소년 통계'에는 20대 초반 사망 원인의 1위가 자살로 나타난다.

이제 우리 사회는 수많은 노인과 여성, 청소년이 스스로 목숨을 버리는 사회가 됐다. 더 이상 자살을 강 건너 불로 봐서는 안 된다. 자살 예방 교육, 자살 위험자 조기 발견 및 치료 등 연령과 성별, 계층을 고려한 획기적인 맞춤형 대책 마련을 서둘러야 한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