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지역 소프트웨어 불법복제 적발률은 증가한 반면 불법 복제율은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경북체신청이 대구지검과 함께 올 상반기 기업체 및 공공기관 등 94곳을 대상으로 소프트웨어 불법복제 단속을 실시한 결과 76개 업체가 불법복제 소프트웨어를 사용한 것으로 드러나 적발률 80.8%를 나타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57.5% 및 올해 전국 평균 63.7%보다 높은 수치다.
반면 이들 적발 업체의 소프트웨어 불법복제율은 11.9%로 지난해 22.9%의 절반 수준에 그쳤고 전국 복제율 12.8%보다도 낮았다.
업종별로는 건설 58.5%, 제조 35.0%, 유통 28.0%, 서비스 22.9% 순으로 불법복제 SW를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고 불법복제율이 높은 소프트웨어는 유틸리티(알집 등) 41.9%, 건축설계용 30.3%, 그래픽용 20.4%, 데이터베이스용 13.3%, 사무용 10.0% 등의 순이었다.
경북체신청 관계자는 "앞으로도 정품 소프트웨어 사용을 위해 우수기업에 대한 표창 및 명판수여 등 지속적이고 다양한 홍보계획을 실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호준기자 hoper@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