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이 지난 6일 청와대 오찬회동에서 '외부 선장론'을 거론한 것을 계기로 5·31 지방선거 참패 이후 열린우리당 내에서 금기시돼 왔던 정계개편 논의가 본격화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열린우리당 김근태(金槿泰) 의장이 정계개편 논의를 적극 차단해 왔지만, 그 같은 방침에 대한 당내의 반대 의견이 적지 않았던 상황에서 노 대통령의 발언이 외부인사 영입론과 오픈프라이머리(국민참여 경선제), 여당 중심 정계개편론, 헤쳐모여식 개편론 등 다양한 아이디어를 촉발하는 기폭제가 됐기 때문이다.
실제로 김한길 원내대표는 "적어도 지도부만큼은 정계개편에 대해 고민하고 대책을 준비하고 있어야 하는 것 아니냐?"며 바로 현 시점부터 내부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일단 당내에서는 정계개편 논의가 당분간 물밑에서 이뤄지다가 휴가철이 지나고 8월 임시국회가 시작될 즈음부터 표면화할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김영주(金榮珠) 의원은 "당내에 정계개편 논의가 본격화해야 한다는 쪽도 있고, 이럴 때일수록 흐트러지면 위험하다는 쪽도 있다."며 "현재로서는 불에 냄비를 올려놔서 부글부글 끓고 있는 상태이고 의원들이 실제로 이런저런 고민을 많이 하고 있어서 어떻게든 얘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유승희(兪承希) 의원도 "대통령이 의도한 것은 아니지만, 대통령의 얘기 자체가 오픈프라이머리의 시작이 아니겠느냐?"며 "물밑에서 정계개편 논의가 있는데 대통령이 물꼬를 튼 것은 나쁘지 않으며, 이면에서 은밀하게 세력 간에 얘기가 오가는 것보다는 국민적 합의를 이끌어내고 관심을 집중시키는 게 낫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당 지도부에 속한 의원들은 한결같이 노 대통령의 얘기는 원론적으로 당의 정체성을 공고히 하고 단합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 '강한 함대론', '튼튼한 울타리론'에 가깝다면서 정계개편 논의가 터져나올 가능성을 경계했다.
이계안(李啓安) 당의장 비서실장은 "대통령의 언급은 오픈프라이머리로 이해될 수도 있고, 기득권을 고수하려는 당내 사람들에 대한 경계일 수도 있다."면서도 "대통령의 말 때문에 정계개편 논의가 촉발되고 안 되고 하진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민병두 홍보기획위원장은 "정대철 상임고문처럼 빨리 흩어져서 (정계개편을) 하자는 사람도 있겠지만, 그러나 내부가 견고해야 외부 성장도 가져올 수 있는 것"이라며 정계개편 논의를 자제해야 한다는 입장을 보였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