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후대비 자금을 준비하지 않고 있는 직장인이 약 절반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8일 대한상공회의소가 서울지역 직장인 1천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직장인 노후대책에 관한 실태조사'에 따르면, '노후준비 자금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는 직장인이 42.4%, '생각해 본 적이 없다.'는 직장인이 2.5%인 것으로 조사돼 현재 노후자금을 준비하지 않고 있는 직장인은 모두 44.9%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14개월 전 같은 조사(35.4%)때보다 9.5%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이에 대해 대한상의는 "최근 들어 노후대책에 대한 직장인들의 관심은 점점 높아지고 있으나 '취업난에 따른 청년층의 사회진출 시기 지연'(20대), '결혼과 주택마련 연령의 상승'(20대와 30대), '사교육비 및 세금 증가'(40대와 50대) 등의 이유로 실제 노후를 대비할 경제력은 부족한 데 따른 것"이라고 풀이했다.
연령별로도, '노후자금을 준비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전 연령대에 걸쳐 지난해보다 증가했다. 20대는 51.1%에서 61.6%로, 30대는 35.2%에서 45.0%, 40대는 25.1% 에서 32.8%로, 50대는 27.7%에서 37.4%로 증가했다. 남성은 응답자 가운데 40.3%가 노후 준비를 하지 않고 있었으며 여성은 51.2%로 나타났다.
노후자금을 마련하는 수단으로 직장인들은 저축·이자소득(34.2%), 개인연금(22.7%), 국민연금(17.7%), 부동산 임대료(11.8%), 퇴직금(6.8%) 등을 꼽았다.
노후를 대비한 자금규모는 '3억~4억 원 미만'이 30.0%로 가장 많았고 '5억~7억 원 미만'이라는 응답이 17.8%로 그 뒤를 이은 가운데 작년에는 3억 원 이상 필요하다고 응답한 직장인이 72.1%였던 것이 올해에는 80.0%로 높아졌다. 노후에 필요한 생활자금이 최종 소득의 60% 이상은 돼야 적당할 것으로 응답한 비율이 작년에는 56.8%였으나 올해에는 74.7%로 높아졌다.
희망 은퇴연령은 20대 50.9세, 30대 55.2세, 40대 60.8세, 50대 63.3세로 응답해 나이가 많을 수록 더 늦은 나이까지 일하기를 원하고 있었다.
정부의 노후생활자 지원대책으로는 '노인의 취업증진'(34.8%)을 가장 많이 꼽았고, '연금제도 확충'(30.2%), '노인 의료대책'(13.2%), '실버타운 등 노인기거시설 확충'(21.8%) 순으로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