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사태, '안이하게 대처 禍 자초' 지적 잇따라

입력 2006-07-22 10:55:00

"포스코 38년 역사상 이런 수치는 처음이고 나아가 국가적 수치입니다. 충격이라는 말로 표현하기에도 부족합니다." 건설노조의 포스코 본사 사옥 점거 사태를 지켜본 전직 포스코 고위 임원의 말이다.

포스코가 이번 사태를 초기부터 안이하게 대응해 화를 자초했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우선 한국 산업의 심장부 역할을 하고 있는 세계적인 기업인 포스코와 포항제철소의 내외곽 경비가 허술했다는 지적이다. 또 노조가 포항제철소 출입문에서 모든 출입자를 통제, 검문 검색을 하는 등 긴장감이 높아지면서 본사 점거 가능성이 높았고, 건설노조의 경우 최근 몇 년 동안 강성 일변도였던 것도 충분히 사태를 예견할 수 있었다. 그러나 포스코 측은 협상 당사자가 아닌데다 설마 본사까지 쳐들어 오겠느냐는 안이한 생각에 대비가 소홀했다는 지적을 받고 있는 것.

포스코는 민영화 이후 과거 공기업 시절과 달리 여러 면에서 유연해졌다는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이는 임직원의 자세나 경영방법 및 정책적인 부분일 뿐 국가 기간산업체로서는 철통 경비가 요구된다는 점에서 보안에 큰 허점을 드러낸 것이다.

포스코의 경비상 허점은 노조가 총파업에 들어간 다음 날인 지난 1일부터 나타나기 시작했다. 건설노조는 이날 포스코 측이 조합원 파업에 따른 인력 공백을 메우기 위해 대체근로 인력을 투입한다고 주장하며 모든 포항제철소 출입문 앞에서 출입자를 검문하는 등 사실상 봉쇄조치에 들어갔다.

이 때문에 교대근무자들이 검문을 받느라 지각하는 등 조업차질이 빚어졌지만 회사 측은 "물리적 충돌은 더 큰 화를 부른다."고 판단, 이를 용인했다. 이런 상황이 13일 오전까지 이어지면서 포스코 측이 대책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는 사이 마침내 수백 명의 조합원들은 본사 사옥으로 몰려왔고, 포스코 측은 변변한 제지 한 번 못한 채 점거시도 불과 수분 만에 사옥을 시위대에 내줬다.

본사 사옥이 이렇게 허무하게 점거되자 포스코 임직원은 물론 지난 38년간 포스코를 지켜본 포항시민, 나아가 전 국민들이 놀랐다. 포스코 측은 "경찰도 감당하지 못하는 노조원들을 우리가 어떻게 막아내느냐?"고 항변했다. 그러나 파업초기부터 노조 측의 본사 점거시도 가능성이 예견됐고, 사옥 입구 진입로에 수십 개의 바리케이드를 치고 있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포스코의 대응은 너무 안이하고 허술했다는 지적을 피하기 어렵다.

특히 포스코는 지난해 회사 경비업무를 외부업체에 위탁한 지 1년도 채 안돼 본사 점거라는 사상 초유의 사태를 맞았다. 경영진이 혹시 "몇 명을 감축했다."는 겉으로 드러나는 전시적 숫자에 연연한 무리한 다이어트가 이번 사태를 불러온 것이 아닌지를 철저하게 분석해 보완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안팎에서 나오고 있다.

포항·박정출기자 jcpark@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