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 등 완성차 4사가 임단협을 둘러싸고 파업을 벌이고 있는 가운데 건설노조원들이 농성중인 포스코 본사에 대한 공권력 투입까지 겹치면서 노동계의 하투가 격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또 민주노총 산하 보건의료노조(병원노조)도 임금 인상 등에 대한 사용자 측과의 산별협상이 난항을 겪고 있어 노사 양측이 돌파구를 찾지 못할 경우 의료대란이 재연될 가능성마저 제기되고 있다.
17일 노동계에 따르면 현대자동차 노조가 지난주부터 사실상 전면 파업에 돌입한 가운데 기아차와 GM대우, 쌍용차 등이 임단협과 구조조정 등을 둘러싸고 파업대열에 합류하면서 국내 자동차사 노조의 파업이 업계 전체로 확산되고 있다. 지난달 26일부터 부분파업에 돌입한 현대차 노조는 지난주 생산 부분에 이어 판매와 정비 부분까지 파업 강도를 높인 데다 향후 노사 협상에 진전이 없을 경우 파업수위를 높일 예정이어서 경제적 손실은 물론 고객들의 불편이 가중될 것으로 우려된다.
GM대우와 쌍용차 노조도 14일 부분 파업을 벌인데 이어 노사 협상 결과에 따라 추가 파업에 나설 것으로 관측되고 있으며 기아차 노조는 18∼20일 광주와 화성, 소하리 공장 순으로 2시간씩 부분 파업을 벌일 예정이다.
보건의료노조의 경우 13일 사용자 측과 제8차 본교섭을 가졌으나 상호간 입장차만 확인한 채 산별교섭을 끝냈다.
보건의료노조는 3년차로 접어든 산별교섭 정착을 위해 18일부터 집중적인 교섭에 나서 20일께 마무리한다는 방침이지만 현격한 입장차를 좁히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여 진료 차질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임금 인상 등을 놓고 이미 수차례 파업을 벌인 금속노조도 사용자 측과의 이견을 좁히지 못한 채 교섭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민주노총 울산지역본부는 19일 울산 지역 30여 개 노조 3만여 명이 참여한 가운데 울산지역 노동현안 해결을 촉구하는 지역 차원의 자체 파업에 돌입할 예정이다.
자동차노조와 병원노조 등은 본격적인 휴가철에 앞서 교섭 타결에 총력을 기울일 것으로 전망돼 이번 주가 노동계 하투의 최대 고비가 될 것으로 관측된다.
노동부 관계자는 "휴가시즌이 본격화되는 7월말 이전에 상황이 호전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조심스럽게 전망하면서 "노동계는 산별노조 전환에 대한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서라도 기존의 전투적 투쟁 관행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