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해상 카메라 탑재 실용위성, 28일 '러'서 발사

입력 2006-07-13 11:35:01

지구상공 685㎞의 궤도에서 지상의 움직이는 자동차까지 식별, 정밀하게 촬영할 수 있는 다목적 실용위성 2호(일명 아리랑 2호)가 28일 러시아에서 발사된다.

과학기술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원장 백홍열)은 이날 오후 4시 5분(한국시각) 러시아 모스크바 북동쪽 약 800㎞의 플레세츠크 발사기지에서 다목적 실용위성 2호를 발사한다고 12일 밝혔다.

다목적 실용위성 2호는 1m급 고해상도 영상(가로·세로 1m 크기의 물체를 '한 개의 점'으로 표시) 자료를 촬영하고 송신할 수 있는 성능을 지니고 있으며, 국토 모니터링, 국가지리정보시스템 구축, 환경 및 재해 감시·분석, 자원탐사 등의 활용가치가 매우 높다고 항우연은 설명했다. 아리랑 2호가 성공적으로 발사되면 우리나라는 다목적 실용위성 1호에 이어 2기의 실용급 위성을 비롯해 우리별 1, 2, 3호, 과학기술위성 1호, 무궁화위성 1, 2, 3 호를 합쳐 모두 9기의 위성을 보유, 세계 6·7위권의 고정밀 위성 보유국이 된다.

다목적 실용위성 2호는 6월 20일 대전 항우연을 출발, 발사장에 안전하게 도착한 후 현재 기능점검, 연료주입, 로콧(ROCKOT) 발사체와의 접속시험 등을 진행하고 있으며, 현지 발사장에는 항우연 기술진 약 20명이 위성의 최종 발사준비를 진행하고 있다.

위성은 발사 후 약 48분 뒤 발사체로부터 분리되고 그로부터 7분이 지나면 태양전지판을 펴고 정상적인 전력 공급을 시작하며 발사 후 약 80분께 아프리카 케냐에 위치한 독일 소유의 말린디(Malindi) 지상국과의 첫 교신을 시도하게 된다.

국내 지상국과의 첫 교신은 발사 후 6시간 55분 후인 한국시각으로 28일 오후 11시께 대전 항우연의 위성운영센터에서 이뤄질 예정이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