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서·경찰 등 유관기관 협조도 안돼
"사유시설은 신고하지 않으면 피해 사실을 알 수 없고 피해조사는 날이 밝아야 시작합니다."
일선 자치단체의 재난관리시스템이 현장 중심이 아닌 탁상시스템으로 바뀐지 오래다. 태풍 등 각종 재난사고에 능동적으로 대처키 위해 정부에 소방방재청이 신설되고 지치단체에는 재난 관련 부서가 생겼지만 재난 발생에 따른 예방·복구 등은 주먹구구인 셈이다.
현재는 재난관리시스템이 자동화됐지만 소방 방재청이 발령한 경보가 읍·면·동까지 전달되기까지는 수시간이 걸리는 결재 라인을 거쳐야 한다. 즉 소방방재청-경북도-자치단체-읍,면,동을 잇는 결재라인을 거친 정식공문이 내려올 때까지 마냥 손을 놓고 기다려야 하는 실정이다.
이번 3호 태풍인 에위니아로 인해 대구·경북에서 가장 큰 피해를 본 성주의 경우 읍내가 온통 물에 잠겼으나 교통통제 및 주민 계도 방송 등이 제때 이뤄지지 않았다.
빗물이 집안으로 들이쳐 주민들의 신고 전화가 빗발치자 뒤늦게 공무원이 동원됐고 군청에 상시 재난상황실이 마련돼 있었으나 가동되지 않았다. 또 경찰·소방서 등 유관기관과의 협조도 원활치 않아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수방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번 침수는 루사, 매미 등 태풍이 내습할 때마다 시우량이 20㎜정도면 발생했지만 이에 따른 대책이 전혀 마련되지 않아 태풍 등 재난 상황에 따른 조치나 대책을 계량화하고 매뉴얼화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상습 침수지역은 강우·시우량에 따른 수문 개폐, 교통통제 등 행동요령과 낙동·임하댐 및 성주댐 방류량에 따른 시간대별 침수 상황 등을 계량화하고 복구 등 지원에도 관련 기관 관계자들이 모여 공동 대처할 수 있는 시스템이 마련돼야 한다는 것.
성주군 관계자는 "태풍 '루사' 때 백서를 만들려다 의회에서 예산문제로 제동이 걸렸다."냐 "당시 강우량 등 기상상황에 따른 지역 피해 등 기록을 남겼으면 이번에 도움이 됐을 것"이라고 아쉬워했다.
홍영선 성주 부군수는 "최근 기상이변 등으로 인한 재난 발생 빈도가 크게 높아지고 있어 이를 계량화하고 이에 맞은 대응책 마련이 필요하다."며 "유관기관과 원활한 업무 협조를 위한 지역 단위 통합 대책기구도 있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성주·박용우기자 ywpark@msnet.co.kr 영주·마경대기자 kdma@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