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폐기물, u-헬스 …" IT 표준용어 70종 추가 확정

입력 2006-07-12 08:49:23

"e-폐기물, u-헬스, 능동 태그가 무슨 뜻이지…"

1990년대 말 한 입사 상식시험에서 몇몇 수험생들이 'MP3 파일'을 'MP(Military Police·헌병)들이 갖고 다니는 문서철 3종 세트'로 억지 풀이해 세간의 웃음거리가 된 적이 있다. 그러나 생소한 IT(정보기술) 용어로 겪는 이같은 '고역'은 지금도 똑같이 일어나는 문제다.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가 최근 열린 '2006년도 제1차 정보통신용어표준어 심의위원회'에서 e-폐기물, 디지털 기회지수 등 최신 IT 표준용어 70종을 추가 확정했다.

이 중 몇몇 용어들을 정리해보면 먼저 e-폐기물(국어 순화어는 'e-쓰레기')은 영어로 'Electronic Waste'로 컴퓨터, 휴대전화 등의 전자 제품을 버릴 때 나오는 쓰레기를 뜻한다. 이런 폐기물은 부품에 납이나 카드뮴 등 유해 중금속을 쓴 경우가 많아 방치시 환경 문제가 된다.

또 u-헬스는 '유비쿼터스(U) 헬스'의 준말로 휴대 IT기기를 통해 언제 어디서나 건강관리 및 진료를 받을 수 있는 기술을 말한다.

능동 태그와 수동 태그는 둘 다 물류회사 등에서 많이 쓰는 RFID(무선인식) 태그의 일종. 능동 태그(Active Tag)는 태그(딱지)에 전지가 내장돼 자체 전원으로 정보를 송신할 수 있고 서비스 통달 거리가 길다. 반면 수동 태그(Passive Tag)는 안테나로 들어오는 전파를 전원으로 삼는 구조라 능동 태그에 비해 통달 거리가 짧아진다.

'위젯'(Widget)은 시계, 달력, 메모장, 검색, 지도 등의 기능을 한 화면에 모아 PC 바탕화면에서 간편히 쓸 수 있는 소형 창(window)을 말한다. 미국 야후 포털에서 제공하는 야후 위젯(http://widgets.yahoo.com) 서비스가 특히 유명하며 이 곳에서는 주요 위젯 소프트웨어를 무료로 내려받을 수 있다.

사진 파일의 대명사인 JPEG 앞에 '점진적'이란 수식어가 붙으면 무슨뜻이 되는 걸까.

'점진적 JPEG(Progressive JPEG)'은 JPEG의 개량형 표준이다. 종전 JPEG이 대용량 이미지를 열 때 위에서부터 아래로 그림을 조금씩 보여주는것과 달리 점진적 JPEG은 처음에 흐릿한 전체 영상을 보여준 뒤 점차 선명도를 높여줘 사용자가 해당 이미지가 어떤 내용인지 빨리 알 수 있게 했다.

번역체 냄새가 물씬 풍기는 용어 '디지털 기회 지수'는 영어로는 'Digital Opportunity Index'로 쓴다. 인터넷 등의 IT 인프라와 소득대비 통신요금 비율 등의 요인을 분석, 한 국가의 정보통신 발전 정도를 종합적으로 가늠하는 척도다.

이번 용어 목록과 뜻 풀이는 TTA 웹사이트(word.tta.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