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1일부터 상시근로자 100인 이상 사업장까지 주 5일 근무제가 확대 실시되면서 상당수 사용자들이 인건비 부담 등으로 불만을 쏟아내고 있다. 또 지역 산업현장의 대다수인 100인 미만 사업장 근로자들은 여전히 근로시간 단축혜택을 받지 못해 근로자간 노동시간 양극화 현상이 심화될 전망이다.
대구시·경북도의 사업체 기초 통계자료(2004년 기준)에 따르면 현재 300인 이상 사업장에 적용하는 주 40시간 근무제를 7월 1일부터 100인 이상으로 확대되면서 대구·경북 '주 5일 근로자들'은 30만 8천800여 명(1천113개 업체)으로 늘어난다.
지금까지 237개 업체(근로자 17만여 명)가 주 5일 혜택을 받아왔으나 다음달부터 대구 427개업체 6만 4천여 명, 경북 449개업체 7만 3천여 명이 새로이 주 5일 근무 대상에 포함됐다.
하지만 대구·경북 사업장 절대 다수는 100인 미만 영세업체들. 대구 경우, 전체 사업장 18만 1천500여 개 가운데 18만 1천40여 개(99.6%)가 내년 이후로 주 5일 근무가 미뤄졌다.
2007년 50인 이상, 2008년 20인 이상, 2011년까지 20인 미만 등으로 주 5일근무가 단계적으로 확대되지만 20인 미만 사업장(17만6천845)이 대구 사업장 전체의 97.6%를 차지, 영세 업체들의 노동시간 양극화가 가중되고 있다.
경북사정도 마찬가지로 100인미만 사업체가 전체의 99.7%에 이르고 대부분 20인미만(96.9%)에 몰려 있다.
대구 성서공단노조 관계자는 "주 40시간 혜택을 누리지 못하고 토·일요일은 물론 국·공휴일에도 일해야 하는 등 노동시간이 되레 증가하는 악순환이 되풀이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사용자들 불만도 커지고 있다. 주 5일 대상 사업장의 절대 다수가 제조업체들이기 때문. 46개 업체가 7월 1일부터 주 5일근무에 돌입하는 성서공단 사용자들은 1주 근로시간을 40시간 이내로 줄이더라도 근로시간 단축으로 근로자 생활수준이 떨어지지 않도록 기존임금 및 통상임금을 보전해줘야 한다는 규정에 불만이다.
한국OSG 정태일 사장은 "주 5일 실시에 따른 인건비 부담만 8%"라며 "경기 침체에 허덕이는 중소기업들의 주 5일제 도입은 우는 아이 뺨 때리는 격"이라고 하소연했다.
그는 "일본에서는 4주에 한 번, 2주에 한 번, 매주 한 번으로 10년에 걸쳐 주 5일 적응력을 높여 줬다."며 "정부의 별다른 지원도 없이 주 5일부담을 모두 사용자에게 떠넘기는 현실에서 직원수를 줄여서라도 주 5일 근무를 늦추는 사태가 속출할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상준기자 all4you@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