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특구는 주파수 시험을 위한 안테나 몇 개 세우는 것에 불과하다."
정보통신부 한 관계자가 28일 모바일 특구로 생기는 경제적 효과는 별로 없다고 말했다.
전날 국회 과학기술정보통신위 현황보고에서 노준형 정보통신부 장관이 "모바일 특구의 명칭을 변경하겠다."는 뜻을 밝힌 배경을 묻는 기자의 질문에 답하면서다.
정통부가 모바일 특구 '평가절하'에 나섰다. 장관은 국회에서 "'특구'라는 명칭이 여러 혜택을 준다는 의미로 해석돼 유치 과열을 불렀다."며 명칭 변경 의사를 표명했다. 실무 담당자는 한 발 더 나아가 "모바일 특구 주변에 연구단지가 조성될 가능성은 없다고 판단된다."라고까지 말했다.
대구·경북이 사활을 걸다시피하며 유치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 상황에서 정통부가 애써 딴죽 부리기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모바일 특구는 지난 2월 당시 진대제 정통부 장관이 M1(모바일 원) 프로젝트를 발표하면서 알려졌다. 진 장관은 "국내 휴대전화 제조업체들이 우리나라가 도입한 CDMA 단말기 외에 유럽형(GSM) 단말기를 제조해 수출하고 있으나 통화가능 여부를 점검할 수 없다."며 "특정 지역에 주파수를 배정해 테스트가 가능하도록 모바일 특구를 구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지방자치단체들은 이에 따라 너도나도 유치 경쟁에 뛰어들었다. 그러나 진 장관은 지방선거 출마를 위해 사퇴했다.
모바일 특구 아이디어의 주인공인 진 장관이 떠나자 지방자치단체들의 유치경쟁이 부담스러워진 정통부가 의미 축소에 나선 것이다.
하지만 정통부에서의 모바일 특구 의미와 대구·경북에서의 의미는 다르다는 지적이다.
대구·경북 모바일 특구 공동유치 실무추진단에 따르면 구미와 대구, 마산을 잇는 동남권 지역의 GSM 단말기 생산은 수도권의 4배 이상으로 세계 최고 모바일 단말 생산기지이며, 모바일 특구를 바탕으로 장기적으로 글로벌 모바일 허브가 된다면 전후방 경제효과가 크다는 것이다.
김성조(구미갑) 국회의원은 "모바일 특구가 구축되면 현재 대구·경북 업체를 수도권으로 뺏기는 것은 막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창환기자 lc156@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한동훈 이틀 연속 '소신 정치' 선언에…여당 중진들 '무모한 관종정치'
국가 위기에도 정쟁 골몰하는 野 대표, 한술 더뜨는 與 대표
비수도권 강타한 대출 규제…서울·수도권 집값 오를 동안 비수도권은 하락
[매일칼럼] 한동훈 방식은 필패한다
[조두진의 인사이드 정치] 열 일 하는 한동훈 대표에게 큰 상(賞)을 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