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나우두·호나우지뉴·앙리…득점왕은 누구?

입력 2006-06-08 16:12:37

10일(한국시간) 개막되는 '지구촌 잔치' 2006 독일 월드컵은 우승팀이 어느 나라가 되느냐에 못지 않게 득점왕의 향방에도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지난 2002년 한일 월드컵에서는 호나우두(브라질)가 8골을 넣어 득점왕에 올랐다.

당시 호나우두는 1978년 아르헨티나 월드컵 이후 무려 24년 간 아무도 넘지 못했던 '마의 6골' 벽을 깨트리며 우승컵과 득점왕에게 주어지는 골든슈 등 두 마리 토끼를 한꺼번에 잡아냈었다.

이번 대회에서 유력한 득점왕에는 역시 호나우두와 호나우지뉴 등 '우승후보 0순위'인 브라질 선수들이 유력한 후보로 꼽히고 있다.

미국 NBC 방송이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 실시 중인 '이번 대회 득점왕'을 묻는 설문 조사에서 8일 오후 3시 현재 호나우지뉴가 전체 응답자 1천68명 중 19%의 지지를 얻어 1위에 올라 있는 것을 비롯해 호나우두 15%(2위), 아드리아누 8.1%(4위) 등 '브라질 파'가 득세하고 있다.

특히 호나우두는 이번 대회에서 3골 이상을 넣을 경우 역대 월드컵 득점 부문 1위에 오르게 된다.

현재 역대 월드컵 득점 1위는 게르트 뮐러(독일)로 14골.

호나우두는 지난 1998년 프랑스 월드컵에서 4골, 2002년 한일 월드컵 8골 등 12골을 넣고 있다.

이런 브라질 파에 맞설 '비 브라질 파'의 대표주자로는 티에리 앙리(프랑스), 안드리 솁첸코(우크라이나), 뤼트 판 니스텔로이(네덜란드), 루카 토니(이탈리아), 루카스 포돌스키, 미로슬라프 클로제(이상 독일) 등이 꼽히고 있다.

현역 최고의 스트라이커로 자타가 인정하는 앙리는 특히 조별 예선에서 이번 대회 32개국 중 최약체로 꼽히는 토고 전에서 몰아치기 골을 넣으면 지난 대회 호나우두의 8골 기록도 뛰어넘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득점 기계'라는 별명이 말해주듯 탁월한 골 감각을 자랑하는 솁첸코는 부상 회복 여부가 변수다.

니스텔로이와 토니의 경우 두 팀 모두 '죽음의 조'로 불리는 C조와 E조에 속해 있어 득점왕에 오르려면 조별 예선 통과가 선결 과제다.

이밖에 지역 예선에서 각 대륙별 득점왕에 오른 '지역 득점왕'들도 눈여겨봐야 한다.

멕시코의 하레드 보르헤티는 북중미예선에서 14골로 득점왕을 차지했다.

아프리카에서는 한국의 첫 상대인 토고의 에마뉘엘 셰이 아데바요르가 11골로 득점왕에 올랐고 유럽에서는 파울레타(포르투갈)가 역시 11골로 1위를 차지했다.

남미에서는 호나우두(브라질)가 10골로 1위에 올랐으며 아시아에서는 알리 카리미(이란)가 8골, 오세아니아에서는 팀 케이힐(호주)가 역시 8골을 넣었다.

역대 월드컵 대회에서 최다 득점은 1958년 스웨덴 월드컵에서 쥐스틴 퐁텐(프랑스)이 기록한 13골이다.

당시 퐁텐은 3-4위전까지 6경기에서 13골을 터뜨려 경기당 2골이 넘는 엄청난 득점력을 과시했다. (연합뉴스)

◇역대 월드컵 득점왕

┏━━━━━━━━━┳━━━━━━━━━━━━━━━━━━┳━┓

┃ 연도(개최국) ┃ 득점왕(국가) ┃골┃

┣━━━━━━━━━╋━━━━━━━━━━━━━━━━━━╋━┫

┃ 2002(한국-일본) ┃ 호나우두(브라질) ┃ 8┃

┃ 1998(프랑스) ┃ 다보르 슈케르(크로아티아) ┃ 6┃

┃ 1994(미국) ┃ 올레그 살렌코(러시아) ┃ 6┃

┃ ┃ 흐리스토 스토이치코프(불가리아) ┃ ┃

┃ 1990(이탈리아) ┃ 살바토레 스킬라치 ┃ 6┃

┃ 1986(멕시코) ┃ 개리 리네커(잉글랜드) ┃ 6┃

┃ 1982(스페인) ┃ 파올로 로시(이탈리아) ┃ 6┃

┃ 1978(아르헨티나) ┃ 마리오 캠페스(아르헨티나) ┃ 6┃

┃ 1974(서독) ┃ 그제고르 라토(폴란드) ┃ 7┃

┃ 1970(멕시코) ┃ 게르트 뮐러(서독) ┃10┃

┃ 1966(잉글랜드) ┃ 에우세비오(포르투갈) ┃ 8┃

┃ 1962(칠레) ┃ 플로리안 앨버트(헝가리) ┃ 4┃

┃ ┃ 가린샤(브라질) ┃ ┃

┃ ┃ 발렌틴 이바노프(소련) ┃ ┃

┃ ┃ 드라간 예르코비치(유고슬라비아) ┃ ┃

┃ ┃ 레오날 산체스(칠레) ┃ ┃

┃ ┃ 바바(브라질) ┃ ┃

┃ 1958(스웨덴) ┃ 쥐스틴 퐁텐(프랑스) ┃13┃

┃ 1954(스위스) ┃ 산도르 코츠시스(헝가리) ┃11┃

┃ 1950(브라질) ┃ 아데미르(브라질) ┃ 9┃

┃ 1938(프랑스) ┃ 레온 니다스(브라질) ┃ 8┃

┃ 1934(이탈리아) ┃ 에드먼드 코넨(독일) ┃ 4┃

┃ ┃ 올드리히 네예들리(체코슬로바키아)┃ ┃

┃ ┃ 안젤로 시아비오(이탈리아) ┃ ┃

┃ 1930(우루과이) ┃ 기예르모 스타빌레(아르헨티나) ┃ 8┃

┗━━━━━━━━━┻━━━━━━━━━━━━━━━━━━┻━┛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