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신 정치1번지'인 수성구지역 기초단체장 선거에는 김형렬 전 한나라당 제5정책조정위원회 부위원장과 이성수 전 대구시의회 의장이 각각 한나라당과 무소속 후보로 맞붙었다.
김 부위원장은 쟁쟁한 공천 경쟁자들을 물리친 '정통 당직자 출신'을, 이 전 의장은 무소속 연대의 바람을 기대하는 '30년 수성구 토박이'를 각각 강점으로 내세워 2파전 구도를 형성하고 있다.
한때 10명이 출마 의사를 나타내 대구지역 기초단체장 선거지역 가운데 가장 치열한 경쟁률을 보인 곳 중 하나였으나 결국은 출마자가 확 줄었다.
김 부위원장은 당직 경력에다 경북외국어테크노대 겸임교수, 자동차10년타기 시민운동연합 이사 등 풍부한 사회경험을 바탕으로 "지방자치단체장의 역할이 관리형에서 지역발전을 디자인하는 창조적, 통합적 리더십으로 전환돼야 한다."고 역설했다.
김 부위원장은 '품격높은 수성구'를 기치로, 2대 전략사업과 7대 프로젝트를 주요 공약으로 내놓았다. 2대 전략사업은 ▷대구 국제화 선도(첨단 영어교육시스템 도입, 구립언어교육원 및 국제학교 설립) ▷건강산업허브 육성(미래건강산업 복합단지 조성) 등이고, 7대 프로젝트는 ▷신서비스산업 뉴타운 조성(유비쿼터스 시범지역 지정) ▷실용 및 평생교육 중심지(전 주민 자격증 가지기 운동) △친환경 도시 건설 ▷복지수성 실현(대학 종합병원 유치, 초일류병원 분원 유치) ▷문화예술 중심도시 건설(대학로·예술인촌·애완동물 테마파크 조성) 등이다.
이 전 의장은 세 차례의 의정활동 경험과 대구 하계U대회 조직위원, 국채보상운동 기념사업회, 대구교육포럼 등 활동을 내세워 "주민여론을 무시한 한나라당 공천을 지켜보며 무소속 출마를 결심했다. 당당하게 수성구민의 심판을 받아 수성구 발전을 위해 분골쇄신하겠다."고 말했다.
이 전 의장은 ▷최적의 교육·환경·주거 인프라 구축(교육특구 지정, 재건축사업 합리적 추진, 먹거리골목 활성화) ▷지식소프트웨어산업 중심밸리 조성(범어네거리를 축으로 한 금융·상업·경영 시설 유치) ▷대구체육공원 스포츠 메카 건설(실내체육관·빙상장·수영장·테니스장·게이트볼장 등 시설 설립) ▷수성못 친환경 관광명소 조성(인공우물·수상레저시설 설치) ▷위민행정서비스 도입 등을 주요 공약으로 제시했다.
김병구기자 kbg@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