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you look about you at the men and women whom you can call happy, you will see that they all have certain things in common. The most important of these things is an activity which at most times is enjoyable on its own account, and which, in addition, gradually builds up something that you are glad to see coming into existence. Women who tale an instinctive pleasure in their children (which many women, especially educated women, do not) can get this kind of satisfaction out of bringing up a family. Artists and authors and men of science get happiness in this way if their own work seems good to them. But there are many humbler forms of the same kind of pleasure. Many men who spend their working life in the City devote their week-ends to voluntary and unremunerated toil in their gardens, and when the spring comes they experience all the joys of having created beauty. It is impossible to be happy without activity, but it is also impossible to be happy if the activity is excessive or of a repulsive kind.
- Bertrand Russell : The Road to Happiness(행복으로의 길)
행복하다고 말할 수 있는 주변 사람들을 살펴보면, 그들 모두는 어떤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대부분의 경우 그 자체로 즐겁고, 점차 생성되어가는 과정을 지켜보는 것이 기쁜 일이 되는 그런 활동이다. 자신의 아이에게서 본능적인 즐거움을 느끼는 여성들(많은 여성들이, 특히 교육받은 여성들이 이것을 모르는 경우가 많은데)은 자녀를 양육하는 데서 이런 종류의 만족을 얻을 수 있다. 예술가, 작가, 과학자들도 그들의 일이 훌륭하게 보이면 역시 같은 방법으로 행복을 얻는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류의 즐거움은 보다 소박한 형태가 많다. 도시에서 노동을 하며 생활하는 많은 사람들이 그들의 주말 시간을 정원에서 자발적인 무보수의 일을 하는데 바친다. 그리고 봄이 오면 자신이 미를 창조했다는 기쁨을 경험한다. 활동 없이 행복하기란 불가능하다. 그러나 그 활동이 과도하거나 역정이 나는 것이라면 행복은 역시 불가능하다.
◆어휘 및 구문
in common 공통으로
instinctive pleasure 본능적인 즐거움
bring up (아이를) 키우다
devote A to B=A(시간)를 B(일)에 바치다, 돌리다
unremunerated 무보수의
repulsive (사물이)혐오감을 일으키는, (사람이)싫은, 불쾌한
버트란드 러셀(Bertrand Russel 1872~1970)
러셀은 1872년 5월 18일 영국 남부 그웬트지방 베드포드 가문에서 태어났다. 케임브리지를 졸업한 이후 가족의 반대를 무릅쓰고 미국인 퀘이커 교도와 결혼한 러셀은 미국에서 비유클리드 기하학을 2년간 가르친 후 베를린으로 이주해 경제학을 공부했다. 러셀의 논리학과 수학 연구는 캠브리지대 교수 시절 제자였던 루드비히 비트겐슈타인을 비롯한 후세 언어철학, 분석철학 연구자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자유주의적 성향이 강했던 러셀은 1차대전이 발발할 무렵부터 사회주의와 평화를 향한 사회활동을 벌이기 시작했다. 러셀은 '점진적인 사회개혁'을 표방한 사회주의 조직 '페이비언 협회'에 가입하고 1차대전이 발발하자 '징병거부협회'를 만들어 징병제 도입 반대운동을 벌였다. 또 대표적 반전운동단체인 '민주통제연맹'을 결성해 국가의 대외정책을 의회의 통제 하에 둘 것을 주장했다.
러셀은 "우리 세계가 가장 필요로 하는 두 가지는 사회주의와 평화이지만 우리 시대 가장 힘 있는 사람들의 이익에 정면 대치되는 것도 바로 이 두 가지다. 사회주의는 소수를 제외한 모든 인류의 행복을 증대시키는 방책"이라고 말했다.
제공 : 송원학원 논술·심층면접팀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