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고와 권고사직 등 비자발적인 사유로 일자리를 잃은 청년층 실업급여 신청자가 15만명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또 청년층 실업급여 신청자가 전체 신청자의 27% 가량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돼 청년실업 해소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23일 노동부에 따르면 지난해 실업급여 신규 신청자 56만5천753명 중 29세 이하청년층이 15만3천48명으로 전체 신청자의 27.1%를 차지했다.
청년층 실업급여 신청자는 2002년 8만9천29명에 불과했으나 2003년 11만166명, 2004년 13만8천101명 등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올해 들어서도 1∼2월 청년층 실업급여 신청자 수가 2만6천998명으로 작년 동기(2만5천262명)에 비해 6.9% 가량 증가하는 등 청년층 실업급여 신청자의 증가추세가이어지고 있다.
다른 연령대의 작년 실업급여 신청자를 보면 30대 16만4천609명(29.1%), 40대 1 2만442명(21.3%), 50대 9만5천238명(16.8%) 등이었다.
실업급여는 근로자가 고용보험 적용 사업장에서 최소 180일 이상 근무하다가 경영상 해고, 계약기간 만료, 권고사직 등 비자발적인 사유로 실직하면 실직 전 평균임금의 50%를 90∼240일까지 받을 수 있는 제도이다.
이처럼 청년층 실업급여 신청자가 꾸준히 늘고 있는 것은 전반적으로 실업급여제도 이용자가 증가하는 가운데 청년층의 구직난이 해소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통계청 집계결과 지난 3월 기준 15∼29세 청년층 실업률은 8.5%로 전체 평균(3.
9%)을 훨씬 웃돌고 있다.
한국경제연구원 배상근 박사는 "청년실업 문제의 주요 원인은 고학력화 추세 속에 청년층의 눈높이에 걸맞은 일자리가 창출되지 않고 있는 것"이라며 "대기업과 중견기업들이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도록 투자 여건을 개선해 나가야 한다"고말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