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명숙(韓明淑) 총리 지명자는 헌정 사상 첫 여성총리 취임의 관문인 국회 인사청문회를 18일 모두 마치고, 하루 앞으로 다가온 국회의 최종 판단을 기다리게 됐다.
국민의 정부 말기 첫 여성총리 탄생의 문턱에서 좌절했던 장상(張裳) 전 이화여대 총장의 인사청문회 때와는 달리 한 지명자에 대한 국회 인준 전망은 비교적 '낙관적'인 것으로 점쳐진다.
한나라당이 명시적 당론을 정하지 않은 채 부정적인 기류를 보이고 있지만, 열린우리당의 압도적인 지지와 소수 야당들의 긍정적인 반응으로 미뤄볼 때 인준 가능성이 높아보이기 때문이다.
이날 현재 각 정당별 의석수는 전체 297명 중 우리당 142명, 한나라당 125명, 민주당 11명, 민노당 9명, 국민중심당 5명, 무소속 5명.
총리 임명동의안은 19일 본회의에 상정돼 일반 안건과 마찬가지로 국회 재적의원 과반수 출석에 과반수 찬성이면 통과되는 만큼 이들 의원이 전원 참석한 상태에서 한나라당 의원들이 모두 반대한다 해도 인준안은 통과된다. 인준안이 부결되려면 '한나라당+α'가 필요한 상황이지만, "한 지명자는 절대 안된다"는 비토세력이 그리 많지 않은 듯하다.
민주당과 국민중심당은 권고적 찬성 당론을 택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민노당은 한미 FTA(자유무역협정)나 비정규직 문제에 대해 민노당의 입장과 상반되는 만큼 찬반 당론 여부를 결론내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나라당의 경우, 복잡한 당 안팎의 사정으로 아직까지 한 지명자의 인준 여부에 대한 뚜렷한 입장을 정하지 못하고 있다. 청문위원 6명 중 4명은 인준에 유보적 입장을, 이한구·주호영 위원은 명확한 불가입장을 보이고 있다. 불가론자들은 한 지명자가 사상 검증에 의도적으로 응하지 않은 것을 볼 때 무엇인가 숨기고 있다는 인상이 짙고, 국정수행 점수도 낙제점이라는 점을 들어 절대 인준표결에 찬성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한나라당이 반대 입장을 당론을 내걸고 표결에 임하기는 정치적 리스크가 크다는 점에서 실현가능성이 낮다는 지적이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