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 individuals, we find that our development depends upon the people whom we meet in the course of our lives. These people include the authors whose books we read, and characters in works of fiction and history. The benefit of these meetings is due as much to the differences as to the resemblances; to the conflict, as well as to the sympathy, between persons. Fortunate is the man who, at the right moment, meets the right friend; fortunate also the man who, at the right moment, meets the right enemy. I do not approve the extermination of the enemy; the policy of extermination or, as is barbarously said, liquidating enemy is one of the most alarming developments of modern war and peace, from the point of view of those who desire the survival of culture.
One needs the enemy. So within limits. the friction, not only between individuals but between groups, seems to me quite necessary for civilization. The universality of irritation is the best assurance of peace. - T.S. Eliot : Notes towards the Definition of Culture -
개인으로서, 우리는 우리의 발전이 우리가 살아가는 과정에서 만나는 사람들에 좌우된다는 사실을 안다. 이러한 사람들 중에는 우리가 읽는 책의 저자, 소설 작품과 역사에 나오는 등장인물들이 포함된다. 이 만남의 과정에서 우리는 유사점뿐만 아니라 차이점을 통해서도 덕을 보게 되며, 사람들 간의 공감뿐만 아니라, 갈등을 통해서도 이점을 얻게 된다. 적절한 시기에 적절한 친구를 만나는 사람은 행복하며, 또한 적절한 시기에 적절한 적을 만나는 사람도 행복하다. 나는 적을 소멸시키는 것에 찬성하지 않는다. 소멸정책 즉 야만스럽게 표현하면, 적을 죽여 없애버리는 것은 문화의 존속을 원하는 사람의 입장에서 보면 현대의 전쟁과 평화가 가져온 가장 불안스러운 사태 진전 중의 하나이다.
사람은 적은 필요로 한다. 그러므로 적당한 범위 안에서, 개인 사이뿐만 아니라, 집단 사이에서도 알력은 문명을 위해 매우 필요한 것처럼 보인다. 자극의 보편성이야말로 최선의 평화보장책이다.
◆어휘 및 구문
▶ depend on (또는 upon) = rest on = count on = rely on = ~에 의존하다, ~에 좌우되다.
▶ in the course of our lives = 우리들이 살아가는 과정에서 (부사구)
▶ be due to + 명사 는 '~의 탓이다, ~덕택이다'의 뜻인데, to the differences, to the resemblances, to the conflict, to the sympathy 가 모두 due에 이어지는 공통관계에 있음.
▶ extermination ⓝ 근절, 박멸, 전멸 (destroying completely).
▶ liquidate ㉹ 정리하다, 청산하다, 없애다(get rid of), 죽이다(kill).
(★지난주 어휘 upward는 petty의 오기이므로 바로잡습니다.)
T.S.Eliot ( 1888~1965)는 영국의 시인이자 극작가, 문학비평가로서 (1922) 같은 시와 〈성당의 살인 Murder in the Cathedral〉(1935) 등의 희곡을 통해 모더니즘 운동을 주도했다. 그는 시어·문체·운율 등의 실험으로 영시(英詩)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었고, 일련의 평론들을 통해 과거의 정통적 견해들을 타파하고 새로운 주장을 내세웠다. 또한 사회적·문화적 제반 문제들에 대해서도 의견을 피력했다. 제2차 세계대전중에 발표된 〈4개의 4중주 Four Quartets〉로 당시 현존하는 가장 위대한 영국의 시인이자 문학가로 인정받아 1948년 메리트 훈장과 노벨 문학상을 받았다.
제공 : 송원학원 논술·심층면접팀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