밥쌀용 수입쌀로는 첫 공매를 거쳐 민간에 풀리게 된 미국 칼로스 쌀 10㎏짜리 4천포대(40t)는 일단 일반 소비자들이 매장에서 사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9일 농림부와 농수산물유통공사에 따르면 지난 5일 공매 때 낙찰된 칼로스 쌀 40t은 급식업체를 통해 시중에 풀릴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결국 단체 급식소나 음식을 만들어 공급하는 케이터링을 통해 식탁에 오를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이 경우 소비자들은 칼로스 쌀인지도 모른채 소비할 가능성도 있다.
농림부 관계자는 "그러나 제3의 업체에 전매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만큼앞으로 부정유통을 막기 위해 유통과정을 철저히 추적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맞물려 내년부터 일정 규모이상 음식점에 대해 원산지 표시가 의무화될 예정인 쇠고기처럼 식당 밥에 대해서도 원산지 표시를 의무화하자는 주장이 탄력을 얻어가고 있다.
실제 작년 12월 한나라당 홍문표 의원 등이 발의한 식품위생법 개정안에 대해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전문위원은 최근 검토보고서를 통해 DNA분석 등 조리된 쌀의 원산지를 판독할 기술이 개발돼있는 만큼 식당 밥에 대한 원산지 표시제 신설은 타당한 조치라는 의견을 밝혔다. 한편 유통공사는 지난 5일 유찰된 칼로스 쌀 1천329t을 오는 12일 전자 입찰방식으로 공매할 계획이다.
그러나 할인점 등 대형 유통업체들은 농민단체의 반발 등 여론을 살피며 계속공매 참가를 꺼리는 상황이어서 유통물량이 얼마나 늘어날지는 미지수인 상황이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