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환은행 헐값매각' BIS 조작 단서포착

입력 2006-04-10 10:54:46

외환은행 헐값매각 의혹을 수사 중인 대검 중수부는 논란의 핵심인 BIS(국제결제은행) 자기자본비율 조작 단서를 포착한 것으로 알려졌다. 채동욱 대검 수사기획관은 10일 외환은행 경영전략부장였던 전용준씨가 론스타의 외환은행 대주주 자격 획득에 결정적 역할을 한 팩스 5장을 발송한 것으로 알려진 허모(사망) 차장에게 책임을 미루는지에 대해 "그렇지는 않다. 허 차장한테 미루고 있지는 않다"고 밝혔다.

검찰은 2003년 8월 당시 외환은행 매각자문을 맡아 12억원의 자문료를 받은 엘리어트홀딩스 박순풍 대표로부터 수억원을 전달받은 혐의로 전씨를 체포, 9일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채 기획관은 "전씨는 외환은행 매각 때 매각 실무를 총괄한 상당히 중요한 인물로 당시 상황을 몰랐을 수는 없다. 수사 초기에 전씨의 비리를 적발해 신병을 확보할 수 있었던 것은 수사 전체적으로 다행한 일이다"고 말해 구체적인 진술을 확보했음을 시사했다.

검찰은 또 외환은행 헐값 매각과 관련, 5명의 출국금지 조치를 추가로 취한 데이어 정·관계 인사들에 대한 무더기 출금 조치를 취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등 수사를 확대하고 있다.이에 따라 론스타 관련 출금조치를 당한 인사는 30명 가량으로 늘어났다.

채 기획관은 추가 출금자 5명이 외환은행 헐값 매각과 관련돼 있느냐는 질문에" (가능성이) 있을 것이다. 저가매각과 관련한 사람들로 보면 된다"고 말했다. 검찰은 전씨와 박씨를 상대로 엘리어트 홀딩스가 외환은행 매각자문을 맡게 된경위와 수억원을 차명계좌로 주고 받은 이유 등을 캐고 있다.

박씨는 절세를 목적으로 차명계좌를 사용했다고 주장하고 있으나 전씨는 금품수수 사실을 시인했다고 검찰은 전했다.

채 기획관은 금품 수수가 범죄 요건에 해당하는지에 대해 "증거가 있으니 영장을 청구한 것이다"고 말해 외환은행 매각 당시 자문사 선정과 내부기밀 유출 등과 관련해 금품을 주고 받았을 가능성을 시사했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