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대전용 산업단지' 비수도권에 들어선다

입력 2006-04-07 10:04:11

중소기업이 평당 5천 원 내외의 낮은 임대료로 50년간 빌려쓸 수 있는 임대전용 산업단지가 비수도권지역에 들어선다. 이 산업단지는 올 하반기부터 3~5년에 걸쳐 총 100만 평 규모로 조성되며 서울 경기를 제외한 경북·경남·충남·충북·전북·전남·강원 등 지방의 광역자치단체별로 최소 1개씩 들어설 예정이다.

정부와 열린우리당은 6일 '제6차 일자리 만들기 당·정 공동특위'를 열어 기업의 입지비용 경감을 통한 투자 활성화와 수도권 기업의 지방이전 촉진을 위해 이 같은 내용의 '임대전용 산업단지제도 도입 및 시행방안'을 마련했다.

현재 '국민임대산업단지' 제도가 시행되고 있으나 이는 5년후 분양조건으로 임대하는 것이어서 국내 기업을 대상으로 한 임대전용 산업단지가 만들어지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새로 조성되는 임대전용 산업단지는 혁신형 중소기업과 지방으로 이전하는 중소기업에 입주 우선권이 주어지며 대기업도 지역 산업클러스터 형성을 위해 협력 중소기업과 함께 지방으로 이전하는 경우에 입주가 허용된다.

임대기간은 50년이며 임대료는 중국, 베트남 등 아시아국가와 유사한 수준인 연간 평당 5천 원(조성원가의 1%)이다. 현재 중국의 경우 평당 연간 1천149원~6천349원, 베트남은 2천645원~4천628원이다.

정부는 이달부터 지자체 및 기업을 대상으로 한 설명회를 열고 5월부터는 입주 수요조사와 조성공사를 실시, 올 하반기부터 입주 기업을 선정해 임대계약을 체결할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이승우 재경부 정책조정국장은 "현재 토지공사가 조성한 산업단지 가운데 미분양된 땅이 30만 평 정도로 이를 임대전용산업단지로 소화할 방침"이라며 "이르면 올 4분기부터는 입주가 시작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정경훈기자 jgh0316@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