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분도 수묵화 4인전
먹 하나로 형상을 만들어내는 수묵화는 '무(無)에서 유(有)를 창조한다'는 상투적인 어구가 너무나도 어울리는 예술이다. 짙은 혹은 옅은 먹이 백색의 화선지 위를 오가며 산수(山水)가 되고 인물이 되기도 한다.
갤러리분도(053-426-5615)에서 4월 22일까지 열리는 '자연의 숨결, 생명을 노래함'전은 이러한 수묵화의 전통을 새롭게 해석하는 네 작가 정종해(한성대 교수)·김호득(영남대 교수)·이영석(계명대 교수)·임현락(경북대 교수)의 최근작을 선보이고 있다. 모두 물로 선염(暈)하고 먹으로 꾸민(章) '수운묵장(水暈墨章)'의 작품이지만 각 작가가 화단에서 차지하고 있는 위치만큼이나 독특하면서도 확고한 이미지를 전해준다.
현란한 필선으로 생명력 그 자체를 발산하던 정종해는 이번에 산이나 폭포 등의 자연경관을 주제로 한 경향의 최근 작품을 걸었다. 한 획 한 획 늘어지고 끊어지고, 이어지는 가운데 보이는 산이며 폭포는 살아숨쉬는 자연의 생명력을 맘껏 발산하고 있다.
무수한 점찍기 작업의 '사이' 연작을 작업했던 김호득의 최근 작품은 '흔들림'이다. 점이 무한확장된 듯 그의 운필은 묵직한 기운을 담아 이미지를 중첩시키고 있다. '단 한 순간도 변하지 않고 흔들리는 세상 만물'에 대한 주제를 담은 작품은 산을 많이 닮았다.
이영석의 '무념' 연작에는 쉼없이 연결되는 일획의 굵은 흔적들이 있다. 무념무상(無念無想)의 경지에서 나온 중봉이 지나간 자리는 온화함을 지닌 채 생명체로서 꿈틀거림을 준비하고 있다. 임현락의 '나무들 서다' 연작은 일획의 기개와 진수를 아낌없이 보여준다. 화선지 위에서 평면으로 존재하던 나무는 임씨의 손을 거쳐 입체로 살아나며 한겨울 나무의 절개와 정기를 간직한 채 다가올 봄의 환희를 응축하고 있다.한 자리에 모이기 어려운 네 작가의 붓 하나로 기운생동하는 작품 10여 점을 감상할 수 있다.
조문호기자 news119@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