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시절엔 배 속에 거지라도 하나 들어있었는지 첫 시간 수업 마치면서부터 아이들은 도시락을 꺼내들었다. 번갯불에 콩 구워먹듯 후딱 한 두 숟가락씩 먹는 재미가 여간 아니었다. 야리꾸리한 반찬 냄새에 선생님들은 코를 틀어막고 소리부터 지르시곤 했다. "이놈들아, 창문 좀 열어라 창문".
드디어 '아기다리 고기다리'던 점심시간! 도시락 뚜껑 여는 소리, 밥친구를 부르는 소리, 웃음소리...수업시간에 목 비틀린 닭처럼 꼬박대던 아이들도 이때만큼은 눈이 반짝거린다.
알루미늄 도시락통의 반찬들은 서로가 엇비슷했다. 짭짤한 콩자반과 '쑤루메'라 부르던 오징어채 무침, 멸치볶음,오뎅볶음, 김치... 어쩌다 다진 소고기를 넣은 고추장 볶이에 계란 프라이 한 장 밥 위에 척 걸쳐져 있으면 요샛말로 도시락짱.
삼삼오오 둘러앉아 왁자지껄한 그룹일수록 도시락 수준이 괜찮았다. 반면 뚜껑을 조금씩 열어가며 혼자 먹는 아이들도 있었다. 그런 도시락은 대개 거므레한 보리밥, 푸르딩딩한 김치 등 초라했다. 점심때면 몰래 교실을 빠져나가는 아이들도 있었다. 다른 친구들이 도시락 한 통 다 까먹고도 매점에서 크림빵을 주전부리로 사먹는 동안 꼬르륵 거리는 배를 수돗물로 달래야 했던 아이들이었다.
도시락의 백미는 역시 고추장. 밥 위에 고추장을 듬뿍 놓고 뚜껑을 덮은채 아래위로 흔들면 고추장 비빔밥이 됐다. 콧등에 송글거리는 땀, "하아~ 하아~ "가쁜 숨을 내쉬며 고추장 도시락을 먹던 아이들.
하지만 연탄 아궁이에 허리 구브려 도시락용 콩을 볶던 엄마들의 모습도, 그 콩 한 줌 얻어먹으려 엄마 치마꼬리를 붙잡고 있던 꼬마 동생도,김치국물이 번져있던 도시락 보자기도, 아내가 정성껏 싸준 도시락을 자랑스럽게 내놓던 아빠들의 모습도 이제는 찾아보기 어려운 시절이 됐다.
한 대학 식당에 '추억의 도시락'이 점심 메뉴로 등장, 폭발적인 인기를 끌고 있다 한다. 밥 위에 계란 프라이, 소시지,마늘쫑과 새우볶음,고추장 등이 얹혀져 있다고. 학생들은 부모세대처럼 도시락을 신나게 흔들어 대고, 나이 지긋한 교수들도 추억 열차를 타기 위해 줄을 선다고.
그러고보니 도시락이 있던 그 시절과 급식과 회식이 넘쳐나는 요즘은 서로간 정(情)의 두께도 달라진 것 같다. 이 봄날, '엄마'의 손맛이 봄 햇살처럼 담겨져 있던 도시락이 문득 그리워진다.
전경옥 논설위원 sirius@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