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중헌 지음/ 나무와 숲 펴냄
천경자. 강렬한 색채와 환상적인 이미지로 독창적인 작품세계를 형성한 작가. 1946년 첫 개인전 이래 수많은 전시회를 열었던 82세의 천 화백의 예술혼을 담은 '내 생애 아름다운 82페이지'전이 4월 2일까지 서울 갤러리 현대와 두가헌 갤러리에서 열리고 있다.
천 화백은 '미인도' 위작 시비에 휘말린 뒤 1998년 딸이 살고 있는 뉴욕으로 가 버린 채 외부와의 연락을 끊고 살고 있다. 지난 2003년 뇌일혈로 쓰러져 거동이 불편한 상태로 투병 중인 것으로 알려진 천 화백. 이제 노화백의 80여 년 인생을 정리하는 결과가 평전으로 나온 이 책이다.
천 화백에 대한 저자의 사랑은 대단하다. 1976년 10월 서교동 자택에서 처음 만난 뒤 저자는 천 화백의 화가다움과 여성스러움에 단번에 매료됐다. 그리고 "정(情)과 한(恨)이 배어나는 삶 자체가 드라마틱할 뿐 아니라 자신을 연출할 줄 아는 당대의 멋쟁이요, 화문(畵文)을 겸비한 스타 작가라 해도 지나치지 않다"고 말할 정도로 가장 이상적인 예술가의 모델로 삼았다.
이렇게 시작된 인연은 천 화백이 절필 선언 후 뉴욕에 머물 때 "작품을 위해 남은 생명을 불태워 갈 각오"라고 친필 편지를 보낼 정도로 각별해졌다. 그렇기에 이 평전은 저자에게 일생일대의 작업이었고, 전시회를 계기로 때마침 찾아온 집필 의뢰는 마땅히 할 일이었다.
30년의 인연을 바탕으로 저자는 '천경자 다시 보기'를 시도한다. 저자는 천 화백이 '한(恨)의 작가', '고독한 작가'라는 세간의 평가에 동의하지 않는다. 오히려 "누구보다 인생을 축제처럼 산 팔자 좋은 화가"로 본다. '한과 고독을 창작의 원동력으로 삼아 화사하고 밝게 표현했다'고 저자는 말한다. "피맺힌 가슴속 응어리가 아니라 아름답고 화려한 감정"이라는 것이다.
충격적 소재, 탁월한 묘사력의 뱀 그림으로 세상과 정면승부하며 동양화·서양화의 경계가 필요없는 자신만의 '천경자풍'의 작업세계를 일군 사람이 바로 천경자 화백이다. 1969년부터 1994년까지 세계를 돌며 '지구촌 다큐멘터리'를 완성하는 등 그림은 물론 해외여행기, 수필 등 글로 삶을 털어놓은 천 화백은 '불타는 예술혼으로 자신을 해방시킨 여자'이다.
현 전시회 서문과 천 화백과의 첫 번째 인터뷰, 천 화백의 글과 함께 '내 슬픈 전설의 49페이지', '환상여행', '길례 언니' 등의 대표작과 미공개작, 곳곳에 실린 천 화백이 직접 그린 채색화·스케치·드로잉들이 천 화백의 삶과 예술을 음미하는 데 도움을 준다.
조문호기자 news119@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