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이 체결될 경우 양국 산업간 경기 동조화 현상을 더욱 심화시킬 우려가 있는 것으로 지적됐다.
이는 쌍둥이 적자 등 구조적인 문제를 안고 있는 미국 경제가 큰 충격을 받을경우 안 그래도 외환위기이후 동조화 현상을 보이고 있는 우리 경제가 FTA이전보다 더 큰 충격에 휩싸일 수도 있다는 의미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의 고희채 연구원은 15일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이후 각국 산업별 동조화'라는 보고서에서 "NAFTA는 미국, 캐나다, 멕시코 등 3개 회원국간 거시경제 지표 동조화를 심화시켰다"며 이처럼 진단했다.
보고서는 미국과 멕시코 제조업간의 상관계수는 NAFTA가 발효되기 이전인 1981∼1993년의 경우 0.12에 불과했으나 발효시점인 1994년부터 2005년까지는 0.59로 높아진 것으로 분석했다.
미국과 멕시코간 주요 산업별 상관계수를 봐도 발효이전 음의 상관계수를 보였던 섬유(-0.28)와 석유(-0.08)가 발효이후에는 섬유 0.33, 석유 0.18로 양의 관계로 돌아섰고 기계.설비는 발효이전 0.10에서 발효이후 0.48로 동조성이 확대됐다.
미국과 캐나다간의 산업별 상관계수도 기계.설비가 발효이전(1981∼1993년) -0.
35에서 발효이후 0.30으로 전환됐고 석유는 -0.15에서 0.11로, 고무는 0.02에서 0.1 0으로 각각 동조성이 심화됐다.
특히 멕시코의 경우 미국의 산업별 경기가 별 시차없이 같은 분기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캐나다의 경우도 미국 경기와의 시차가 석유는 1분기, 고무는 2분기에 불과한 것으로 이 보고서는 분석했다.
보고서는 "한미FTA 체결은 멕시코처럼 산업별 동조화를 키우고 그 시차도 좁힐것"이라며 "FTA에 의한 경제통합은 상대국 경제 충격을 빨리 전파, 통합이 없었다면 겪지 않을 충격도 겪어야 하는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세계 최대 시장인 미국과의 FTA는 체결돼야 하고 향후 동북아 통합의선점효과도 가져올 것"이라며 부작용인 동조화 충격은 미국이외 다른 나라와의 FTA 를 통한 다변화로 분산시켜야 한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