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 김남주 시인 등 '남조선민족해방전선준비위원회'(이하 남민전) 사건 관련자 29명이 민주화운동관련자로 인정됐다.
민주화운동 관련자 명예회복 및 보상심의위원회(위원장 하경철)는 13일 제162차 심의회에서 민주화운동 심의 신청자 33명 가운데 29명의 행위를 유신체제의 권위주의적 통치에 항거한 행위로 판단, 민주화운동 관련자 인정 결정을 했다고 14일 밝혔다.
민주화운동 관련자로 인정된 주요 인사는 고 김남주 시인을 비롯해 이수일 전 전교조 위원장, 이학영 한국YMCA 사무총장, 임준열 민족문제연구소장, 권오헌 민가협 양심수후원회 회장 등이다.
김 시인은 1978년 한국민주투쟁위원회(이하 민투) 조직원으로 가입, 남민전 기관지인 민중의 소리에 저항시를 게재하는 등 유신체제 비판 유인물 제작에 주도적으로 관여한 혐의로 징역 15년에 자격정지 15년이 선고됐다.
남민전은 임 소장과 수학자 안재구 씨 등이 1976년 2월 반유신 민주화와 반제 민족해방 운동을 목표로 조직한 비밀단체. 이들 관련자들은 '북한공산집단의 대남전략에 따라 국가변란을 기도한 사건'에 가담했다는 이유로 검거돼 국가보안법 및 반공법 위반 혐의로 사형, 무기, 징역 15년 등 중형을 받았다.
민주화심의위는 또 남민전 중앙위원을 지냈던 이재문·신향식·이해경 씨에 대해서는 민주화운동 관련자 인정결정을 보류하고 추후 심의를 거쳐 최종 결정하기로 했다. 당시 항소심 재판에서 무죄판결을 받았던 1명에 대해서는 불인정 결정했다.
이재문 씨는 81년 11월 사형선고를 받고 사형 집행 전 옥중에서 사망했으며 신향식 씨는 82년 10월 사형이 집행됐다. 이해경 씨는 무기징역이 선고됐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