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수성구에서 재개발 열풍이 이어지면서 각종 불협화음이 숙지지 않고 주민 간 명암이 엇갈리는 가운데 이번엔 '찔끔 난개발' 논란이 일고 있다.
넓은 구역을 한꺼번에 재개발하는 것이 도시구조 개선은 물론 동네 주민들의 주거편의에 부합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일관된 목소리지만 일부 동네에서는 좁은 부지를 대상으로 한 '찔끔 재개발'이 이뤄지면서 "'누더기 동네'가 되고 있다"는 민원이 폭발하고 있는 것.
더욱이 행정기관은 "손쓸 방법이 없다"며 뒷짐만 지고 있어 재개발에서 소외된 주민들을 두 번 울리고 있다.
대구 최고의 노른자 땅인 수성구 범어동 대구지방법원 바로 옆 동네(요도 참조). 지난 2003년 12월 지은지 25년이 넘은 110가구 규모 한 아파트가 이 동네에서 가장 먼저 재건축을 추진했다.
그런데 대구수성구청은 원만한 도시계획과 다른 주민들과의 형평성을 고려, 주변 1만2천 평 전체를 아우르는 공동개발을 권했고, 이에 따라 아파트업체 2, 3곳이 주민들과 공동으로 일대 전체의 재개발을 추진해 왔다.
하지만 지난해 말 갑자기 한 재개발업체가 동대구로를 물고 있는 2천800평 40가구 주민들과 협의, 이 곳에 대해서만 재개발을 추진하면서 이 동네 주민들의 재개발 기대는 물거품이 될 위기에 놓였다. 40가구에 대한 '소규모 개발'은 지난해 말 대구시 교통영향평가를 통과했고 9일엔 건축심의까지 끝내 최종 건축허가만 남겨두고 있다
결국 개발이 사실상 확정된 2천800평의 3배가 넘는 이 동네 9천200평 260가구 주민들은 분통을 터뜨리고 있다. 동대구로를 물고 있는 2천800평의 경우, 40층 가까이 높게 지을 수 있지만 2천800평의 개발이 끝난뒤 9천200평을 따로 재개발하면 소방도로 면적을 적용 받아 20층도 올릴 수 없다는 것.
재개발에서 소외된 주민들은 "260가구의 재개발 기회가 사실상 사라지게 됐다"며 "수성구청이 나서 동네 전체 재개발을 하라고 해놓고 이제 와서 '찔끔 개발'을 허용하다니 말이 되느냐"며 최근 대구시에 진정서를 냈다.
주민들은 "소규모 찔끔 개발이 이뤄지면 늘 지나다니던 골목길까지 없어진다"며 "동네가 누더기가 되는 피해를 받아야 한다"며 흥분하고 있다.
40가구만 주상복합을 짓는다고 가정했을 때 이곳 땅값은 평당 1천400만~1천500만 원을 호가하지만 사업성이 떨어져 재개발을 추진 못하는 다른 지역 땅값은 평당 400만~500만 원 선으로 떨어질 전망. 주민들은 재산피해까지 입게 됐다며 법적 대응도 불사한다는 방침이다.
행정기관은 갈팡질팡하고 있다. 특히 당초 이 동네 주민들에게 공동개발을 권했던 수성구청은 "뚜렷한 해결방안이 없다"는 입장이고 대구시는 수성구청에 책임을 떠넘기고 있다.
대구시는 민영 아파트 사업의 부지면적을 법으로 규제할 방법이 전혀 없고 2년여 동안 재개발이 미뤄진 40가구 주민들이 빠른 건축 허가를 요구해 대구시가 '공동개발'을 강제할 수단이 전무하다고 했다. 대구시는 일단 이달초 수성구청에 두 지역에 대한 중재에 나설것을 권고했다.
구청 관계자는 "수성구 땅값이 계속 올라 넓은 구역에 대한 재개발은 보상협의가 너무 오래 걸려 소규모 '찔끔개발'이 최근 나타나고 있다"고 했다.
이상준기자 all4you@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