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전문가 94% "대구·경북 경제통합 절실"

입력 2006-03-14 10:11:58

대구·경북지역의 공무원, 기업체 임원 및 CEO(최고경영자), 교수, 연구원 등 전문가 대부분은 대구경북 경제통합에 대해 잘 알고 있을 뿐만 아니라, 경제통합의 필요성을 크게 느끼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시·도 경제통합에 '가장 영향력이 큰 집단' 및 '주도적으로 추진해야 할 집단', '최대 장애요인'으로 모두 지방자치단체장과 시·도 공무원을 꼽아 지방자치단체장의 의지와 지역 공무원의 협조가 시·도 경제통합을 이루는 관건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경북연구원(원장 홍철)이 12일까지 5일간 자문위원 및 교수, 연구원 등 전문가 150여 명(최종분석 90명)을 대상으로 대구·경북 경제통합 관련 인터넷 e메일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경제통합 논의에 대해 '알고 있다'(▷잘 안다 58.9% ▷조금 안다 32.2%)는 응답이 91.1%에 달했고, 경제통합의 필요성에 '동의한다'(▷매우 필요함 53.3% ▷필요함 41.1%)는 반응은 무려 94.4%에 달했다.

지역 전문가들은 대구·경북 경제통합이 필요한 이유에 대해 '(현 상태로는) 시·도민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정책수립의 어려움'(36.9%)을 가장 많이 지적했고, 그 다음은 '지역간 원활한 경제교류가 되지 않아 고용창출 및 인력활용이 어려움'(21.4%), '중복투자로 인한 경제적 낭비가 심함'(27.4%) 순으로 조사됐다.

경제통합을 추진할 때 가장 우선적으로 추진해야 할 분야로는 '대구경북의 차별화 된 역할분담을 통한 연계·협력'이 34.4%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공동투자유치'와 '광역 교통망 형성'이 각각 31.1%와 11.1%를 차지했다.

경제통합 후 기대효과로는 '모바일특구와 같은 국가단위 사업유치가 쉬워진다'가 4.49점(5점 만점)으로 1위에 올랐고, '대구·경북 지역경제 활성화'(4.36점), '대구·경북을 오가는 주민의 생활편리'(4.29점), '대내외적인 지역 경쟁력 강화'(4.40) 등도 높은 점수를 받았다.

한편 시·도 경제통합에 영향력이 큰 집단으로 지방자치단체장(63.3%)과 시·도 공무원(14.4%), 정치인(10.0%) 순으로 조사돼 오는 5·31 지방선거때 당선되는 시·도지사와 시장, 군수들의 의지가 경제통합의 성패를 가를 것으로 전문가들은 내다봤다. 이와함께 전문가들은 경제통합을 주도적으로 추진해야 할 집단으로 지방자치단체장(55.7%)과 시·도 공무원(28.4%)을 지적했고, 경제통합의 장애요인으로는 '시·도 공무원의 이해관계'(58.0%)와 '지방자치단체장의 의지 결여'(25.0%), '지역간 과도한 경쟁의식'(12.5%)을 우려했다.

석민기자 sukmin@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