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 소수자에 대한 영화 속의 시선은 훨씬 관대하고 개방적이며 파격적이기까지 하다. 최근 들어서는 리안 감독의 미국 영화 '브로크백 마운틴'과 일본 영화 '메종 드 히미코', 화제의 한국영화 '왕의 남자' 등 성 소수자를 소재로 다룬 영화들이 화제를 모으고 있다.
# '브로크백 마운틴'
미국 평론가들이 열렬한 찬사를 보낸 리안 감독의 최근작이다. 우정에서 사랑으로 발전한 두 청년이 마음을 숨기고 결혼해 나누는 20여년에 걸친 사랑을 그렸다. 뛰어난 멜로드라마. 남성 동성애자는 이성애자에게는 낯설고 불편한 존재지만 그들도 우리처럼 사랑에 행복해하고 아파한다. 연인일뿐이라는 사실을 깨달을 때 동성애는 비로소 이해할 만한 삶의 한 방식이 된다.
# '메종 드 히미코'
동성애자 소재를 유머와 진지함으로 버무린 작품이다. 이누도 잇신 감독이 연출했다. 어린 시절 자신과 어머니를 버리고 떠난 게이 아버지의 젊은 연인이 그 딸을 찾아온다는 내용. 황혼기에 접어든 게이들의 모습을 통해 새로운 각도로 동성애자를 바로본 감독의 시선이 따뜻하게 느껴진다.
# '왕의 남자'
동성애 코드가 편재해 있지만 동성애 영화는 아니라는 묘한 모순이 있다. 동성애가 몇 겹의 상징과 수사를 통해 표현되기 때문. 공길은 실제가 아니라 놀이판 곧 무대에서만 장생의 파트너이고 여자다. 연산군이 공길에게 요구하는 것도 사랑이 아니라 놀이다. 연산군은 놀이판에서만 수태할 수 없는 자궁이자 어머니의 상징적 대리자로서 공길을 마음껏 희롱하고 사랑할 수 있다.
# 시각의 변화
'해피투게더', '크라잉게임', '토탈 이클립스', '필라델피아', '소년은 울지 않는다', '두 여자의 사랑', '결혼피로연' 등 동성애를 소재로 한 영화는 적지 않다.
국내에서는 1997년에 '해피투게더'가 수입불가 판정을 받았다. 칸 영화제에서 감독상을 받은 이 영화는 '동성애가 미풍양속을 해칠 수 있다'는 이유로 수입이 거부됐다가 논란 끝에 1년 뒤 개봉했다.
그 후 '패왕별희', '인앤아웃', '바운드', '프리실라', '헤드윅' 등 동성애 소재 영화들이 국내에 개봉됐다. 또한 '내일로 흐르는 강'이나 '로드무비' 같은 동성애 영화가 국내에서 만들어졌다. (2006년 3월 2일자 라이프매일)
최재수기자 biochoi@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