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나 큰 그리움으로
내가 너의 이름을 불러주면 되겠느냐.
오늘 쓸쓸히 바람이 불어
묵은 옷깃처럼 아무렇지도 않은 마음 일렁이나니
내가 그 일렁이는 마음으로 술을 마시고
많이 취하면 되겠느냐.
사랑이여, 짙은 어둠 속에서
가장 어두운 한 어둠이 빛나고 있어서
내 황홀하여 나를 잊고 선
흔적 없는 내 모습을 보여 주고 싶다.
참 많은 기억과 시간을 죽이고
빈 몸으로 서서 그리움 키우고 있나니
어떤 결단으로도 이를 수 없는
그런 나라가 먼 곳에 있으면 좋겠다.
'먼나라' 김선굉
'사랑한다'는 것은 사랑하는 이에게 '내 모습을 보여 주고 싶'은 마음이다. 그렇지만 '내 모습을 보여'줄 수가 없어 안타깝다. 시인은 이 안타까움을 사랑하는 이에게 '얼마나 큰 그리움으로/ 내가 너의 이름을 불러주면 되겠느냐.' 혹은 '일렁이는 마음으로 술을 마시고/ 많이 취하면 되겠느냐'며 호소한다. 그러나 그 길은 보이지 않는다. 사랑은 건너지 못하는 거리를 거느리고 있기 때문이다. 사랑은 그 절대적 거리감에 대한 인식이며, 대상과 합일에 이르지 못하는데 대한 안타까움이다. 그래서 '어떤 결단으로도 이를 수 없는 먼 나라'인 것이다. 사랑은 '황홀하여 나를 잊'을 수 있게 하지만 동시에 '가장 어두운 한 어둠'이기도 한 것이다.
구석본(시인)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