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법관 후보자 인사청문회
국회 인사청문특위는 10일 박시환(朴時煥) 대법관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를 열고 자질과 직무수행 능력을 집중 검증했다.
이날 청문회에서는 박 후보자가 지난해 대통령 탄핵심판 당시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의 대리인단으로 활동한 전력과 관련, '코드인사' 여부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한나라당 주호영(朱豪英) 의원은 "이용훈 대법원장과 조대현 헌법재판관 등 탄핵변호인단 11명 중 8명이 중용된 데 이어, 박 후보자도 대법관으로 제청됐다"며 "코드인사가 아니라고 하면 어느 국민이 납득하겠느냐"고 따졌다.
또한 박 후보자가 지난 2003년 8월 서울지법 민사합의 재판장 시절 대법원장의 인사에 반발해 연판장을 돌리고 '대법관 제청파문'을 주도한 사실에 대해서도 질의가 이어졌다.
같은 당 유기준(兪奇濬) 의원은 박 후보자와 노 대통령의 관계를 언급하면서 " 박 후보자는 대법관이 되기 위해 법원을 뛰쳐나간 것으로밖에 볼 수 없다"고 말했다.우리당 이원영(李源榮) 의원은 박 후보자가 변호사로 개업한 2003년 9월부터 최근까지 2년여간 300여 건의 사건을 수임하고, 19억 원의 수입을 올리면서 전관예우 논란이 제기된 것과 관련, "법에 정한 절차 외에 재판부에 청탁을 한 경우가 있었나"고 추궁했다.
이에 앞서 9일 열린 청문회에 출석한 김황식(金滉植) 대법관 후보자는 국가보안법 개폐논란과 관련, "반국가단체 규정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 후보자는 "반국가단체 규정은 국가기틀을 위해 꼭 필요하지 않느냐"는 한나라당 김재원(金在原) 의원의 질문에 대해 이같이 답했다.
김 후보자는 "(국보법을 폐지할 경우) 반국가단체를 형법상 내란죄 등으로 처벌할 수 있느냐"라는 질문에 대해 "내란죄는 폭동을 전제로 한 것이기 때문에 그대로 처벌은 어렵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현재의 형법만으로는 국보법이 커버되지 않는 부분이 상당히 있을 것" 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사진: 10일 오전 국회 대법관 후보자 인사청문회에 출석한 박시환 후보자가 의원들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김영욱기자 mirage@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이준석 이어 전광훈까지…쪼개지는 보수 "일대일 구도 만들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