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로부터 "치수(治水)는 나라의 근본(根本)"이라 했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60년대초 까지만 해도 해마다 가뭄과 홍수를 번갈아 겪는 등 하늘만 쳐다보고 하는 농사로 보릿고개 때에는 초근목피로 연명하는 사람들이 많았다. 정부는 이러한 천수답 농업을 탈피하기 위해 수리시설 개량에 박차를 가하였는데, 누가 나에게 이승만 정부에서 잘한 일을 꼽으라면 주저없이 치수사업이라고 할 것이다. 다른 것은 몰라도 초대정부(初代政府)는 치수사업에 정말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당시에는 국가산업의 거의 전부가 농업이었고 따라서 건설공사의 8, 9할은 농업토목이었다. 화성도 저수지 등 농업토목에 주력했다. 그런데 저수지 공사는 많은 전답이 수몰되어야 함은 물론, 수세(水稅)징수에 대해 부담을 느끼는 농민들이 크게 반발하는 게 태반이어서 공사를 수행하면서 많은 난관에 부딪히곤 했다. 그 대표적인 사례가 영천군 임고면 사동저수지 공사였다. 공사를 시작하려는데 졸지간에 가옥과 전답을 수몰시켜야 하는 임고주민들의 반발이 극에 달해 현장에 드러눕기도 하며 공사를 못하게 하는 등 필사적으로 반대했다. 참으로 당혹스러운 노릇이었다. 주민들이 과격한 행동을 할 때에는 경찰이 와서 연행해 가기도 했는데 그것이 오히려 반발을 부추기기도 했다. 어찌할 바를 모르다가 직접 부딪혀야 결정을 내릴 수 있을 것 같아, 임고주민 한 사람 한 사람을 만나 설득하면서 몇 날 며칠을 보냈다. 요즈음도 공사현장은 각종 민원으로 애로사항이 많겠지만, 당시의 농민들은 세상이라도 바뀌듯이 반대가 심해 마음고생이 이만저만이 아니었다. 겨우겨우 설득해 주민들의 마음을 돌리고 나서야 공사를 할 수 있었는데, 저수지 공사가 완공되고 4년이 지난 어느 날, 임고주민 중 유지 몇몇이 나를 찾아와 유공비 제막식을 하는데 참석해 달라고 했다. 그러나 그때 했던 공사가 너무 힘들었던 탓에 썩 내키지도 않았지만 그보다는 그렇게 마음고생 시키며 반대했던 사람들이 찾아와 그러는 게 믿기지가 않아 제막식에 참석하지 않았다. 그런데, 1년쯤 지나서 우연히 그 곳을 지나치게 되어 가보니 내 이름이 새겨진 유공비(有功碑)가 진짜로 서 있는 것이 아닌가.
나중에 들은 이야기지만 저수지가 없던 때에는 비가 오지 않으면 흉년이 들어 빈농을 면치 못했지만 자신들이 그토록 방해했던 저수지공사가 완공되고 나서는 물 걱정 하지 않고 농사를 지을 수 있게 되어 마을 전체가 부농이 되었다는 것이다. 그래서 감사한 마음으로 나에게 유공비 제막식에 참석하기를 요청하였는데 내가 미처 가지 못했던 것이다. 그 일은 건설인으로 살아가는 참된 의미와 보람을 다시끔 느끼게 해 주었는데, 지금은 그 곳이 내가 일상에 지치고 일이 잘 안 풀릴 때 마음을 새로이 다잡으려 찾는 장소가 되었다.
화성산업(주)'동아백화점 명예회장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