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26 재선 향후 정국

입력 2005-10-27 13:31:42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이 27일 여당 완패로 끝난 10·26 재선거 결과에 대해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대한 평가로 받아들인다"고 말해 현재의 정치판을 뒤바꿀 또 다른 '빅 카드'를 던질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또 열린우리당 내에서는 지도체제 개편론은 물론 청와대 책임론까지 제기되고 있어 여당이 거센 10·26 재선 후폭풍에 휩쓸리고 있다.반면 이번 재선거에서 4곳을 석권한 한나라당은 다소 흔들리던 박근혜 대표 체제가 안정을 되찾으면서 정국주도권을 회복해 대여 파상공세가 예상된다.

노 대통령은 27일 오전 일일상황점검회의를 주재한 이병완 비서실장을 통해 이 같은 입장을 밝히고 "열린우리당은 동요하지 말고 정기국회에 전념해 달라"고 말했다고 김만수 청와대 대변인이 전했다. 김 대변인은 특히 "대통령이 '평가로 받아들인다'고 말한 부분을 확대해석하지 말아달라"고 덧붙였다.

그러나 지난 4·30 재보선에 이은 연패로 여권이 정국주도권을 야당에 뺏기게 됐으며, 앞으로 정국의 반전이 없을 경우 내년 지방선거 결과도 비관적일 수밖에 없고, 결국 정권의 조기 레임덕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전망이 많아 청와대 대응이 무엇일지 주목받고 있다.

이와 관련해 대선주자의 조기 당 복귀, 조기 개헌론 제기, 거국 내각 구상, 민노당이나 민주당과의 소연정 추진 등이 노 대통령의 빅카드로 거론되고 있다. 노 대통령은 오는 29일 청와대로 문희상(文喜相) 의장을 비롯해 열린우리당 지도부와 이해찬(李海瓚) 총리 등 당·정 지도부를 초청, 만찬을 갖고 향후 대책을 논의할 계획이다.

열린우리당은 개표 직후 열린 긴급상임중앙위원회의에서 지도부 재신임 문제 등을 놓고 격론을 벌인 끝에 28일 국회의원과 중앙위원 연석회의에서 지도체제 개편문제를 매듭짓기로 했다.

이에따라 현 문희상 의장체제로는 내년 지방선거를 치를 수 없다는 데 공감대가 형성될 경우 우리당은 지도부 사퇴에 이은 비상대책위 구성, 조기전당대회 등으로 연말 내내 내홍에 빠져들 공산이 크다.

게다가 당내 재선의원 그룹을 중심으로 선거패배가 노 대통령의 국정운영 잘못에서 기인한다는 청와대 책임론이 거론되고 있어 당·청간 갈등도 배제할 수 없다. 한나라당은 지난 4·30 재보선 승리에 이어 10·26 재선거에서도 완승함에 따라 박 대표 체제 강화는 물론 대여 전선에 몰두할 수 있는 자신감을 회복하게 됐다.

이런 가운데 박 대표 위상 강화로 차기 대권을 둘러싼 당내 경쟁구도에도 변화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최근 이명박 서울시장이 '청계천 효과'를 통해 지지율 면에서 박 대표를 추월하고 있는 시점에서 재선 압승이란 결과가 나왔기 때문에 박 대표와 이 시장 간 차기 대권을 향한 내부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보인다.

서봉대기자 jinyoo@msnet.co.kr 이상곤기자 leesk@msnetl.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