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26 국회의원 재선거 최종 투표율 40.4%

입력 2005-10-27 08:09:28

대구 동구을 등 전국 4개 지역에서 치러진 10.26 국회의원 재선거의 최종 투표율이 40.4%로 집계됐다.

이는 국회의원, 기초단체장, 광역의원 선거가 동시실시된 지난 4.30 재.보궐 선거의 투표율 33.6%보다 6.8%포인트 높고, 4.30 재.보선 당시 국회의원 재선거 6곳의 평균 투표율 36.4%를 4.0%포인트 웃돈 것이다.

이는 지난해 17대 총선의 투표율(60.6%)에 비하면 저조한 것이기는 하지만, 총선이라는 큰 판의 선거와 '지역선거'를 단순비교하기 힘들다는 점에서 근래 치러진 재.보선 투표율 치고는 상당히 높은 수준이다.

실제로 2000년 이후 실시된 10차례의 재.보선 가운데 2001년 10월 국회의원 재선거 투표율(41.9%)에 이어 40%를 넘는 높은 투표율을 보인 것.

이날 재선거 투표율은 오후 5시께 가까스로 30%를 넘겨 4.30 재.보선 당시 국회의원 재선거만 치러진 지역의 평균 투표율 수준인 35%에 그칠 것으로 예상됐으나, 투표종료 2시간을 앞둔 오후 6시 이후 투표율이 수직상승했다.

특히 접전지역으로 분류된 대구 동을과 울산 북구에서 유권자들의 막판 투표행렬이 전체 투표율 상승을 견인한 원동력으로 분석된다.

울산의 경우 투표율이 오후 6시 41.1%였으나 불과 2시간 사이에 9%포인트가 늘어난 52.2%로 투표가 종료됐다. 또 대구의 경우에도 같은 시간대 투표율이 38.8%에서 46.9%로 껑충 뛰었다.

이 같은 현상은 이번 재선거부터 선관위가 주5일제 시행을 감안, 투표일을 토요일에서 수요일로 옮김에 따라 퇴근시간대 직장인의 투표 참여가 가능했던 점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울산에는 현대 노조원들이 다수의 유권자를 차지하는 만큼 퇴근후인 오후 6시 이후 이들의 상당수가 뒤늦게 한표를 행사했을 가능성이 높다는게 선관위의 지적이다.

또 눈에 띄는 것은 영남권 2곳과 수도권 2곳의 투표율이 양극화 현상을 보였다는 점이다.

조승수(趙承洙) 전 의원의 의원직 상실로 민노당 '실지'(失地) 회복'에 초점이 맞춰진 울산 북구에서는 한나라당 윤두환(尹斗煥) 후보와 민노당 정갑득(鄭甲得) 후보가 선거운동 기간에 양강구도를 형성, 가장 높은 52.2%의 투표율을 기록했다.

또 열린우리당 이강철(李康哲) 후보와 한나라당 유승민(劉承旼) 후보가 맞붙은 대구 동을은 노무현(盧武鉉) 대통령과 박근혜(朴槿惠) 대표의 대리전 양상으로 일찌감치 '흥행성'이 높았던 탓인듯 재.보선 평균투표율을 웃도는 46.9%를 기록했다.

반면 경기지역 재선거 2곳의 투표율은 저조해 부천시 원미갑은 28.9%에 그쳤고 광주시는 36.7%로 집계되는 등 예상대로 역대 재.보선 투표율인 30%대 안팎을 기록했다.

이는 영남지역 선거가 갖는 '정치적 의미'가 수도권 지역보다 훨씬 컸던데다 영남권의 '반여(反與)정서'가 결합하면서 투표율 상승으로 이어졌을 것으로 보인다.

반면 개정 선거법에 따라 만 19세 유권자의 사상 첫 투표 참여, 부재자 신고 요건 완화 등 투표율 제고장치가 마련됐으나 투표율 상승에는 크게 기여하지 못한 것으로 분석된다.

전체 부재자 신고수는 8천697명에 그쳤고 부재자 투표율도 지난 4.30 재.보선(88.9%)에 비해 오히려 9.1%포인트 하락한 79.8%를 나타냈다. 또 19세의 새내기 유권자도 8천544명로 전체 선거인수 대비 1.6%에 불과해 판세를 좌우할 변수가 되지 못했다.

이와 함께 이번 재선거에서는 부재자 신고 요건 완화와 함께 부재자 투표 참여를 독려하는 과정에서 일부 과도한 대리접수 현상이 빚어진 것은 제도적으로 보완해야 할 과제로 지적됐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