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26 동을 국회의원 재선거는 여러 면에서 볼거리가 많았다.
▲지역발전이냐, 정권심판이냐?=이강철 후보는 선거기간 내내 공공기관 동구 유치를, 유승민 후보는 정권심판론으로 맞섰다. 또 이 후보는 나홀로 선거를, 유 후보는 세몰이 선거를 했다. 이 후보가 이길 경우 유권자들은 낙후된 동구발전과 인물론, 한나라당의 무능에 표를 던진 것이고, 유 후보가 이길 경우 지역발전보다는 현 정권의 실정과 지역의 친한나라 정서가 유권자들의 표심을 잡았다고 볼 수 있다.
▲텃밭이냐 교두보냐?=이 후보가 이기면 열린우리당은 불모지 대구·경북에 교두보를 확보하게 된다. 당장 여권 실세인 이 후보가 선거에서 밝힌 공약을 지키기 위해서라도 지역발전에 적잖은 '선물'을 가져올 것이고, 당내 위상도 강화된다. 또 한나라당 일색의 지역 정서에도 상당한 충격파를 던질 것으로 예상된다. 여기에 내년 지방선거와 2007년 대통령 선거에도 '변화된 정서'가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반면 유 후보가 이기면 한나라당은 '텃밭불패' 신화를 이어가게 된다. 유권자들의 '뜻'을 반영, 현 정권의 실정에 대한 칼을 더욱 세운다. 대권을 꿈꾸는 박근혜 대표는 자신의 위상을 재확인하는 동시에 당내 입지도 더욱 공고해진다. 또 이번 선거를 통해 친한나라의 지역 정서가 재확인되면서 내년 지방선거와 대통령 선거에도 '텃밭 정서'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박풍 불었을까?=박 대표는 공식 선거기간 13일 중 4일을 동을에 머물렀다. 지난 4·30 영천 재선거 때의 바람을 노렸고, 초반 접전 판세를 벌려 승부에 쐐기를 박을 작정이었다. 하지만 종반까지 초접전 판세가 이어져 박풍은 불지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 이 후보가 이기면 박풍은 '역풍'이 되는 셈이며 유 후보가 근소한 표차로 이겨도 박풍은 '미풍'에 그친다. 물론 큰 표차로 이기면 '박풍'의 위력을 실감하게 된다.
▲부재자 투표?=동을의 부재자 투표 신고인 수는 선거인 수 대비 1.7%인 2천513명. 이는 지난 17대 총선 당시의 3천642명보다 적은 인원이다. 개정 선거법에 따라 부재자 신고 기준을 대폭 완화해 부재자 신고 대상이 급증할 것으로 예상했지만 결과는 빗나갔다. 재선거 열기가 그다지 높지 않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통상 이 후보는 부재자의 투표 적극 참여를, 유 후보는 그 반대를 내심 기대했다는 후문. 남은 것은 부재자의 투표 성향. 개표 시 부재자투표를 가장 먼저 개봉할 예정이어서 두 후보의 초반 희비가 엿보인다.
▲투표 '새내기' 만19세는?=개정 선거법에 따라 이번 재선거에서 처음 투표를 한다. 설레임 그 자체일 수 있다. 그래서 얼마나 투표할지, 누구에게 표를 던질지 궁금하다. 동을의 만 19세 새내기는 2천639명이며 전체 유권자의 1.58%다.
▲'3약', 얼마나 득표할까?=양 강 구도에 밀려 선거기간 내내 각종 여론조사에서 지지율이 1~3%대의 답보상태를 보였다. 현재로선 개표를 해도 지지율이 급상승하는 '돌발상황'이 일어날 가능성은 적어 보인다. 이들의 득표율은 선거비용과 기탁금의 반환과도 관계 있다. 유효투표 총수의 15% 이상을 득표하면 기탁금 1천 500만 원과 자신이 쓴 선거비용 전액을 돌려 받지만 10~15% 득표 시는 그 절반을, 10% 미만은 한 푼도 돌려받지 못한다. 이종규기자 jongku@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