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을 재선 정당별 전략 차별화

입력 2005-09-23 10:26:30

10·26 대구 동을 재선거에 대해 여야 각 정당이 전략마련에 부심하고 있다.열린우리당은 지역개발론, 한나라당은 정권심판론, 민주노동당은 정책정당론 등으로 승부할 것으로 보인다.

열린우리당은 출마가 예상되는 이강철 청와대 시민사회수석이 지역문제를 해결할 '힘'이 있다는 것을 내세우며, 낙후된 동구 발전에 전력을 쏟을 것을 강조하고 있다. '공공기관 동구 이전' '팔공산 종합테마관광단지 조성' 등을 주요 공약으로 내놓을 예정이다. 이를 통해 대구·경북에 열린우리당 교두보를 확보하겠다는 전략이다. 그러나 이 수석의 '힘'을 바탕으로 한 무차별적인 공약 남발이나 실현가능성에 대한 무검증 등에 대해서는 앞으로 비판이 일 소지가 있다.

한나라당은 '노무현 정권에 대한 심판'이란 공세 외에 뚜렷한 전략을 아직 마련하지 못한 상태. 일부는 '정권심판론'과 '박근혜 대표 대리전'만을 통해 충분히 승산이 높다고 보고 있지만, 일부에서는 지난 4월 영천 재선거와 같이 후보는 없고 지도부만 나선 구태의연한 방식의 선거운동은 곤란하다는 지적도 있다. 한나라당은 당장 공천 잡음을 최소화하면서 경쟁력 있는 후보를 고르는 작업에 치중하고 있다.

민주노동당은 당선 여부와 상관없이 '무상의료' '무상교육' 등과 같은 당의 주요 정책을 집중 홍보하면서, 정책정당 이미지를 부각시킨다는 전략이다. 특히 암 등 중증 질병에 대한 건강보험 확대적용을 비롯한 관련 법 개정이 성과를 보이고, 국민적 지지도 높다는 점을 감안해 당의 정책실현 방안과 향후 대응을 적극 홍보할 방침이다. 하지만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소수정당의 한계를 어느 정도 극복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이다.

김병구기자 kbg@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