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후속대책 논의에 분주

입력 2005-09-20 11:19:38

盧 대통령 긴급 국무회의 주재…대표단 불러 '자축 만찬'도

청와대와 정부는 추석 연휴 마지막날인 19일 6자 회담이 전격 타결되자 크게 반기며 후속 대책을 논의하는 등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 특히 임기 내내 짓눌려 온 북핵(北核)의 중압감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계기를 맞은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은 20일 국무회의를 주재하는 한편 정동영 통일부 장관과 6자회담 대표단 등을 청와대로 불러 만찬을 함께 하며 자축할 예정인 등 전에 없이 활발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청와대=노 대통령은 20일 오전 국무회의 모두 발언에서 "기분 좋은 국무회의"라면서 "6자회담이 상당한 결론을 맺고 마감했다. 의미도 중요하고 그 다음 후속 조치를 어떻게 하느냐가 중요해서 저도 (국무회의에) 나왔다"고 인사했다.

김만수 청와대 대변인은 공동성명 채택 소식이 전해지자 즉각 논평을 내고 반가워했다. 김 대변인은 논평에서 "특히 공동성명에 한반도 평화체제, 북미 및 북일 관계 정상화 등 관련 의제들이 포괄적으로 담겨 있어 북핵문제 해결과 함께 한반도 평화정착을 위한 실질적 진전의 계기가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김 대변인은 이어 "노 대통령은 일관되게 평화번영 정책과 북핵 해결 3원칙에 기반해 6자회담 타결을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해 왔다"고 상기시킨 뒤 "의장국인 중국 등 각국의 노력에 대해서도 높이 평가한다"고 말했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단지 북핵 문제를 타결했다는 차원이 아니라 한반도, 나아가 동북아의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주춧돌을 쌓았다는 점은 역사를 다시 쓴다고 할 정도로 큰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다.

◇통일부=정동영 통일부 장관은 19일 회담 타결 직후 서울 삼청동 남북대화사무국에서 브리핑을 갖고 "6자 회담은 평화와 위기의 갈림길에서 우리 스스로 결단하고 회담 타결을 이끌어 낸 역사적 의미가 있으며 한국 외교의 승리"라고 말했다. 또 "공동성명 채택은 한반도 냉전구조 해체의 시발점"이라며 "북핵 문제는 냉전구조의 핵심으로 동북아 정세 불안의 핵심요소였지만 이 장애물이 제거됨으로써 한반도가 탈냉전화하고 평화회담이 시작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이어 한국 정부의 창의적 노력이 회담을 성공적으로 이끌었다고 자평했다. 이번 2단계 6자회담이 다시 휴회로 갈 뻔했지만 지난 주말 반기문 외교장관과 콘돌리자 라이스 미 국무장관 간 회동에서 중국 중재안을 중심으로 회담을 타결짓자는 쪽으로 미국이 입장을 선회함으로써 타결에 이르게 됐다는 것.

그는 특히 자신이 제기한 '중대 제안'의 역할을 강조했다. 공동성명 3항에 '대북 200만kW 전력공급에 관한 7·12 중대 제안을 재확인한다'고 언급돼 있는 것과 관련 "오늘의 이 합의는 중대제안이 없었으면 안 나왔을 것이며 이 제안을 통해 꺼져가던 6자회담의 불씨를 살리고 합의에 이르렀다"고 말했다.

◇외교통상부=미국을 방문 중인 반기문(潘基文) 외교통상부 장관은 19일 뉴욕 주유엔대표부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북한의 평화적 핵이용권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한미 간의 신뢰와 동맹관계가 해결의 기초가 됐다"고 말했다. 반 장관은 또 "이번 회담 타결로 북핵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위한 기틀이 마련됐다"면서 "특히 한반도 평화체제 수립 논의의 계기가 마련됐다는 것도 큰 성과"라고 밝혔다.

반 장관은 이어 미국을 움직인 커다란 요인이 무엇이냐는 질문에 대해 "여기서 협상의 모멘템을 놓치면 문제가 장기화할 수도 있고 국제적인 비확산 체제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을 집중적으로 부각시킨 것이 주효했다"고 소개했다.

최재왕기자 jwchoi@msnet.co.kr

사진: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은 20일 오전 청와대에서 열린 국무회의를 주재, 6자회담 후속 대책 등을 논의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