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름 잡는' 大邱 테크노폴리스 사업

입력 2005-09-16 11:54:33

대구경북과학기술연구원(DGIST) 사업이 무산된 봉무동 패션어패럴밸리 사업의 재판(再版)이 될 가능성이 크다고 한다. DGIST가 들어서기로 한 대구 테크노폴리스 사업의 진척이 지지부진한 탓이다. '구상 단계'에 불과한 테크노폴리스 사업으로 인해 국책 사업인 DGIST 사업이 유탄을 맞아 표류할 위기에 놓인 것이다.

이에 따라 DGIST의 속앓이가 깊어지고 있다. DGIST 설립마저 '문제 사업'으로 전락해 정부의 눈총을 받는 지경인 때문이다. 자칫 잘못되면 패션어패럴밸리 사업처럼 감사원 감사로 제동이 걸려 사업을 전면 재검토해야 할지도 모르는 상황이라고 한다. DGIST는 지난해 127억5천만 원의 예산을 불용 처리했다. 이를 빌미로 정부는 올해 DGIST 건설 관련 예산 55억7천만 원을 아예 배정에서 제외했고 내년도 DGIST 예산 25억 원을 삭감해 버렸다. 테크노폴리스의 실체가 없어 DGIST가 확보한 예산조차 사용하지 못하게 된 것이다.

DGIST 사업의 위기는 추진 능력은 없으면서도 의욕만 앞세운 대구시 때문이다. 테크노폴리스 조성 사업은 애초부터 조해녕 시장의 '구상'에 불과했다. 그런데도 대구시는 DGIST의 입지를 관련 인프라가 부족한 달성군 지역으로 선정했다. 이에 대구시는 대학과 병원, 각종 연구소를 모두 테크노폴리스로 이전하겠다고 공언했다. 하지만 구름만 피웠을 뿐, 비는 전혀 내릴 기미조차 없다. 대신 달성군 지역의 땅값만 천정부지로 올려놓았다.

이로 인해 사업 타당성을 긍정적으로 보았던 토지공사마저 협약 체결을 미루며 발을 빼는 듯한 인상이다. 대구시는 테크노폴리스 조성 사업을 국책 사업으로 요구해 본격 추진하든지, 아니면 포기하든지 하루빨리 결정을 내려야 할 것이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