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대-상주대 통합 완전 무산

입력 2005-08-01 19:18:08

경북대와 상주대간 통합 논의가 대학 구성원 갈등을 비롯한 풀어야할 과제만 남긴 채 8개월여만에 완전 무산됐다.

교육부 관계자는 "지난달 30일 경북대가 제출한 경북대-상주대 통합지원신청서에 대해 상주대 총장의 직인을 포함한 문서보완을 요청했으나 정해진 기일 내에 보완이 이뤄지지 못했다"고 1일 밝혔다.

이로써 지난해 12월 '경북대-상주대 통합추진 공동연구단' 구성으로 본격화된양 대학간 통합 논의는 8개월여만에 완전 무산됐다.

경북대는 이날 '상주대와의 통합무산에 즈음하여'라는 제목의 성명서를 통해 " 상주대 총장의 독선으로 인해 대학 통합논의가 무산됨으로써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 면서 "상주대 총장의 일방적인 통합거부 선언은 경북대학교의 여타 기회를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비도덕적 해교행위"라고 강력히 비난했다.

경북대는 또 "통합 파트너 대학에 막대한 피해를 입힌 상주대 총장에 대해 관계기관에 철저한 조사 및 책임추궁을 요구해 나갈 것"이라고 밝혀 양 대학간 갈등도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그러나 양대학은 통합 논의 과정에 교수와 학생, 교직원들이 찬반 양측으로 나뉘어 극한 대립을 보인 상태여서 갈등은 쉽사리 해소되기 어려울 전망이다.

상주대 교수협의회 등으로 구성된 통합추진비상대책위원회는 문서보완 시한(이날 오후 6시)을 3시간 가량 앞두고 본관 애일당에서 비상총회를 개최, 비대위를 해산하는 대신 비대위의 모든 권한을 평교수 등으로 구성된 교수협의회 평의회에 위임키로 했다.

특히 평의회는 비대위가 그 동안 추진해온 김종호 총장을 대상으로 한 직무정지가처분신청을 비롯, 총장 퇴진 운동을 계속할 것으로 알려졌다.

비대위 관계자는 "통합 추진 과정에 보여준 김 총장의 무관심과 무책임은 대학을 큰 혼란에 빠뜨렸기 때문에 상주대학교의 경영권한을 더 이상 부여한다는 것은불가능하다고 판단된다"고 밝혔다.

경북대 총학생회와 직원노동조합 등으로 구성된 민주단체협의회도 보도자료를통해 김달웅 총장을 맹비난하고 조속한 대학 정상화를 촉구했다.

민주단체협의회는 "통합 논의 과정에 대학 구성원과 사제간에 학자적 양심을 걸고 한 약속을 파기하고 상주대 총장과 상주 시민을 일방적으로 무시하는 듯한 경북대의 모습을 보면서 교수의 학자적 양심과 대학을 대표하는 총장의 인격을 걱정하게된다"고 밝혔다.

민주단체협의회는 "대학은 하루빨리 정상적으로 운영되어야 한다"면서 "대학의진정한 민주화를 위해 교수, 학생, 직원은 본연의 자세로 돌아와주기를 희망한다"고촉구했다.

또 경북대와 상주대는 이번 통합 무산으로 각각 자체구조조정, 신입생 충원에서앞으로 상당한 어려움이 예상되고 경북대와 상주대간 갈등도 풀어야할 숙제로 남았다.

최근 수년간 신입생 충원율이 60%대에 머물렀던 상주대는 경북대와의 통합 논의가 시작된 2005학년도에는 충원율이 80%까지 치솟은 점을 감안할 때 통합 무산으로또다시 신입생 충원율이 크게 하락할 것으로 전망됐다.

경북대도 교육부 대학구조개혁방안에 따라 2007년까지 입학정원의 10%(440여명) 를 자체적으로 줄여야 해 통폐합 대상 학과 선정과 추진 과정의 반발도 만만치 않을전망이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