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물가 상승률 35개월만에 최저치

입력 2005-08-01 09:29:56

차분한 물가 계속 이어질 듯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작년 같은 달에 비해 2.5% 상승에 머물면서 35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장바구니 물가인 생활물가도 작년 같은 달보다 3.9% 오르는 데 그쳐 16개월 만에 3%대로 떨어졌다.

서울 강남 등 일부 지역의 부동산 가격이 안정세를 되찾아가고 있는 가운데 집세도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 4개월 연속 하락했다. 1일 통계청에 따르면 7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전월 대비 0.4%, 작년 같은 달 대비 2.5% 상승했다. 전월비로는 지난 4월 이후 석 달 만에 플러스로 돌아섰지만, 전년 동월에 비해서는 2002년 8월 이후 가장 낮은 상승률이다.

올해 1∼7월의 작년 동기 대비 월평균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3.0%로 정부의 올해 억제 목표치인 3% 초반을 밑돌고 있다.

이는 농축수산물 가격이 장마로 인한 출하감소로 상승하고, 국제유가 상승과 에너지 세제개편으로 공업제품 가격도 올랐지만 과실류 가격 하락과 기타서비스부문의 안정세에 힘입은 것으로 분석됐다.

식료품 등 일상생활에서 자주 구입하는 156개 품목으로 구성된 생활물가지수는 작년 같은 달보다 3.9% 상승했고, 전달에 비해서는 0.7% 올랐다. 생활물가 상승률은 지난 4월 4.9%에서 5월 4.7%, 6월 4.1%, 7월 3.9% 등으로 석 달 연속 둔화추세를 나타냈다. 이는 농산물이 장마 영향을 덜 받은데다 광우병 등의 변수가 없어 농축산물 가격이 안정적인 데 따른 것이다.

대구경북 물가도 전국 평균보다는 더 올랐지만 안정세를 보였다.통계청 경북통계사무소에 따르면 7월중 대구지역 소비자물가지수는 115.9(2000년=100)로 6월보다 0.4%, 지난해 7월보다 2.6% 상승했다.

장마 영향으로 반입량이 줄어든 농축수산물(1.3%)과 공업제품(0.4%), 공공서비스(0.4%) 및 개인서비스(0.5%) 부문이 지난달보다 올랐다. 지난해 7월에 비해 집세(-0.4%)는 내렸으나 농축수산물(0.6%)과 공업제품(3.6%), 공공서비스(3.7%) 및 개인서비스(2.3%) 부문은 상승했다.경북지역 소비자물가지수는 115.0으로 6월보다 0.5%, 지난해 7월보다 2.7% 상승하는 소폭 오름세를 보였다.

서명수기자 diderot@imaeil.com 김지석기자 jiseok@imaeil.com

최신 기사